지난해 하반기부터 경기둔화가 뚜렷해지는 가운데 중국이 두 달 연속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올해 5% 성장률 사수에 총력을 기울이는 중국이 금리 인하, 인프라 투자 등 경기부양에 본격 나선 상황이다. 다만 인플레이션 우려에 금리를 올리려는 미국 등 다른 나라들과 디커플링(탈동조화)가 심해질 수 있다.
20일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1월 LPR 발표에서 “1년 만기 금리를 3.70%로 한다”고 공고했다. 이는 전달에 비해 0.1%포인트 낮춘 것이다. 지난해 12월에 20개월만에 금리 인하를 단행해 0.05%포인트 낮춘데 이어 이번 1월까지 두 달 연속 금리를 인하한 것이다.
또 인민은행은 “(주로 주택담보대출에 사용되는) 5년 만기 LPR도 4.60%로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에는 5년 만기까지 0.05%포인트 낮춘 것이다. 5년 만기는 전달에는 인하 하지 않았었다.
중국의 전 금융기관이 기업·가계대출의 기준으로 삼는 인민은행 고시 LPR은 사실상의 기준금리 성격을 띤다.
인민은행은 중국에서 코로나19 확산이 절정에 달했던 지난해 4월 LPR을 비교적 큰 폭인 0.20%포인트(1년만기 기준) 인하한 뒤 전달까지 1년 7개월 동안 유지했었다. 그런데 이번에 두달 연속 LPR을 인하한 것은 경제상황이 코로나19 초기만큼 나쁘다는 것을 방증하는 셈이다.
류궈창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 부행장이 지난 18일 “현재 경제가 ‘3중 압력’에 직면해 안정이야말로 가장 큰 진전인 상황”이라며 “경기 하방 압력이 근본적으로 완화하기 전까지 안정만을 지원하는 가운데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정책은 펴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지난 17일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연차총회의 ‘다보스 어젠다 2022’ 특별 화상 연설에서 “세계 주요국이 통화정책에 급제동을 걸거나 급전환할 경우 심각한 부정적 파급효과가 나타나 세계 경제와 금융 안정에 도전이 될 것이며 개발도상국이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고 지적하며 중국이 미국 등 다른 나라와는 달리 통화완화를 유지할 것임을 시사했었다.
중국은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년동기 대비 4%에 불과한 상황이다. 올해 5%대 성장 목표 마저 불투명하다. 올해 가을 시진핑의 3연임 확정을 앞두고 전방위적인 경기부양에 나선 상황이다.
다만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이미 고강도 경기 부양으로 정부부채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경기부양 여유가 크지 않다는 평가도 많다. 올해 미국이 본격적인 출구전략에 나설 경우 미중 간의 금리 엇박자가 심화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