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이걸 누가 사?…완판행진에 'TV=거실' 공식 무너졌다

LG 스탠바이미LG 스탠바이미




100만원이 넘는 이동식 스크린이 가전 히트 상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시장에서는 없어서 못 팔 정도다. LG전자를 시작으로 삼성전자, 중소기업들도 관련 제품을 쏟아내고 있다.



이 제품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TV, 모니터 제품과 달리 이동하며 시청할 수 있고 유튜브, 넷플릭스 등 인기 OTT 감상이 쉽다는 것이 인기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움직이는 나만의 TV에 MZ 세대를 중심을 열광하고 있다는 것이 시장의 분석이다.

사실 LG전자가 지난해 처음 선보였을 때 오히려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다. 100만원이 넘는 비싼 가격의 이동식 스크린이 얼마나 팔릴지 미지수였다. 하지만 예상을 깨고, 중고시장에선 웃돈까지 붙여 거래됐다. 가전 제품으로는 매우 이례적이다. LG전자는 이동식 스크린 열풍의 시초가 된 ‘LG 스탠바이미’ 판매를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이 제품은 ‘LG가 일냈다’라는 표현을 들을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해외까지 진출했다. 홍콩에 정식 출시했다. 싱가포르, 베트남 등 아시아 주요 국가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이용자 확대를 위해 애플 iOS 운영 체제 기반 기기와 연동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도 진행했다. 카카오 웹툰을 론칭하는 등 소비자 취향에 맞춰 지원 콘텐츠 종류도 확대하고 있다.

관련기사



더 프리스타일더 프리스타일


삼성전자도 가세했다. 바로 포터블 스크린 ‘더 프리스타일’이다. 예약판매 1시간 만에 모든 유통 채널에서 ‘완판’됐다. 더 프리스타일은 일종의 휴대용 빔 프로젝터다. 가격은 119만원으로 일반 빔 프로젝터 대비 비싸다. 하지만 최근 공개되자마자 유명세를 탔다. 소비자들은 180도 자유자재로 회전해 벽, 천장, 바닥 등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원하는 각도로 비춰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국내외 다양한 OTT를 포함한 스마트TV 서비스를 삼성 TV와 동일하게 지원한다.

이런 가운데 중소기업인 주연테크도 탭-모니터 ‘캐리미(Carry me)’ 를 선보였다. 27형(대각선 길이 약 68㎝) 터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이동형 태블릿 모니터다. QHD 해상도에 안드로이드11 운영체제(OS)를 탑재했다. 대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 출고가를 기존 제품보다 낮췄다. 99만 9000원이며 정식 출시는 3월이다. LG전자 ‘스탠바이미’와 용도, 디자인, 크기 등이 매우 유사하다.

업계는 이러한 ‘이동식 스크린’의 흥행은 코로나19 여파로 확산한 비대면 문화와 최근 소비 주역으로 떠오른 MZ(밀레니얼+Z)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각자의 공간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특히나 MZ 세대를 중심으로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가 인기를 얻으면서 ‘TV=거실’이라는 공식이 무색해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