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세종시 돋보기] 치솟은 집값에 '특공' 사라지고 대출도 막혀…신입 공무원 주거난 심화

아파트값 2년새 2배 이상 급등

대출규제로 보증금 마련도 막막

새로 전입 공무원 '반전세 전전'

소형주택 부족, 월세도 올라 부담

세종시 아파트 전경./연합뉴스세종시 아파트 전경./연합뉴스





세종시로 전입해 오는 신입 공무원들의 주거난이 심화하고 있다. 부동산 정책 실패로 세종시 아파트 값은 지난 2년간 두 배 넘게 뛰었고 전월세 가격 역시 덩달아 올라 사회 초년생들에 부담이 되고 있다. 여기에 대출 규제로 반 토막 난 대출에 반전세·월세를 전전하는 모습이다. 부족한 소형 주택 공급 속 오피스텔 월세 가격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 여기에 공무원 특공까지 사라지면서 ‘내 집 마련’은 머나먼 꿈이 된 상황이다.

관련기사



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세종시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해 12월 기준 6억 9599만 원을 기록했다. 조정장 속 가격이 하락했다지만 2년 전인 지난 2019년 12월(3억 3178만 원)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높다. 비교적 저렴하게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공무원 특공’은 공직자 투기를 근절한다면서 당정에서 폐지했다.

대출 규제 속 전월세를 구하는 것도 만만찮다. 행정고시를 합격한 사무관 기준 2020년까지만 하더라도 1억 3000만 원가량의 ‘마통’을 뚫을 수 있었다. 하지만 정부에서 신용 대출을 규제하면서 대출 금액은 5000만 원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기존 사무관들은 전세 대출에 ‘공무원 마통’을 얹어 2억~3억 원가량의 전세를 얻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그마저도 어렵게 된 것이다. 실제로 뒤늦게 들어온 상당수의 신입 공무원들은 ‘부모 찬스’를 쓰지 않는 이상 보증금을 낮추고 월세를 내는 ‘반전세’를 전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세종시 내 부족한 소형 주택 역시 주거난을 심화시킨다.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세종시(동) 내 주택 10만 1509가구 가운데 아파트가 10만 801가구(99.3%)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다. 아파트 중에서도 전용 60~85㎡의 중형 가구가 4만 4807가구로 가장 많았고 전용 100~130㎡의 대형 가구가 1만 2699가구로 뒤를 이었다. 이에 오피스텔 임차료는 치솟는 상황이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세종시의 오피스텔 전세가율은 92.6%로 전국 시도 중 가장 높았다.


세종=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