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尹 "대장동 질문에 왜 다른 대답하나" 李 "특검 뽑는 자리 아냐"

■ 대선 후보 첫 TV토론 - 대장동 개발 특혜 이슈

尹 "직접 설계했나" 몰아붙여

沈도 "투기세력에 당한 무능"

安은 "개발이익 환수 포기했다"

李 "이런얘기 시간낭비" 받아쳐

지상파 방송 3사가 공동 주최한 대선 후보 토론회가 열린 3일 서울 KBS 스튜디오에서 심상정(왼쪽부터) 정의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윤석열 국민의힘,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토론회 전에 리허설을 하고 있다. /권욱 기자지상파 방송 3사가 공동 주최한 대선 후보 토론회가 열린 3일 서울 KBS 스튜디오에서 심상정(왼쪽부터) 정의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윤석열 국민의힘,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토론회 전에 리허설을 하고 있다. /권욱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둘러싼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에 대해 야당 후보들은 3일 첫 TV토론에서 집요하고 예리하게 이 후보를 몰아세웠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시장 밑에 사람이 다 한 것이냐. 아니면 시장이 설계한 것이냐”며 입장 표명을 다그치는 검사로 돌아온 듯한 모습을 보였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투기 세력과 결탁한 공범이냐. 투기 세력에 활용당한 무능이냐”고 쏘아붙였고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도 “(개발이익) 환수를 포기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국정감사를 거쳐 반년 가까이 이어진 공방과 이 후보의 수차례 사과에도 야당 후보들은 대선의 승패를 좌우할 결정적 변수가 ‘대장동’이라는 인식을 같이한 듯 이 후보를 겨냥해 총공세에 나섰다. 이 후보는 민생과 경제가 우선이라며 ‘정책 토론’을 주장했지만 시원한 답변을 내놓지 못한 채 지난해와 같은 논리와 대답을 반복하는 데 그쳤다.



이날 방송 3사(KBS·MBC·SBS) 합동 초청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윤·심·안 후보는 시작부터 대장동 강공 드라이브를 걸었다. 첫 번째 주제 토론인 부동산 분야부터 윤 후보는 이 후보를 향해 “이 후보께서 엄청난 이익이 발생하는 대장동 개발 사업 설계를 다시 해도 (똑같이) 하겠다고 했는데, 이 후보는 이 사업에 들어가는 비용과 수익을 정확히 가늠하고 설계했냐”고 포문을 열었다. 이 후보가 “이런 얘기를 다시 해 시간 낭비를 하기보다 가능하면 우리 국민의 민생 경제 얘기를 많이 하자. 어렵게 만든 토론 자리”라고 했지만 윤 후보는 재차 “어떤 특정인, 3억 5000만 원을 투자한 사람에게 배당받을 수 있는 최상한선, 캡을 씌우지 않고 이렇게 설계했다는 것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라고 따져 물었다. 이 후보도 질세라 “저축은행 대출 비리는 왜 봐줬냐”고 맞받아쳤지만 심·안 후보가 가세하며 포위하는 양상이었다. 심 후보는 “공공주택에 이 후보가 관심이 많은 줄 몰랐다. 대장동에는 임대아파트 하나도 만들지 않았다”고 에둘러 비판했고 안 후보도 “(개발이익) 환수를 포기하면서 특정 민간에 1조 원 가까이를 몰아줬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 후보를 포위하는 양상은 주도권 토론에서도 계속됐다. 윤 후보는 “엄청난 이익이 발생하는 대장동 개발 사업에서 성남시가 얼마나 이익을 확보하는지가 문제”라며 “시장으로서 당연히 개발 사업의 비용과 수익을 정확히 인식했을 것”이라고 압박했다. 그러자 이 후보는 “모든 국민은 성남 이재명 시장에게 왜 국민의힘이 막았을지라도 100% 이익 환수를 못했냐고 하는데 그건 제가 부족했다”면서도 “하지만 분명한 것은 공공 개발을 못하게 하고 업자들의 뇌물을 받고 이익을 취한 것은 국민의힘이다. 윤 후보가 할 말은 아니다”라고 응수했다. 이에 윤 후보는 “상식에 거슬리는 이야기” “이익이 남는다고 했는데 도대체 입장이 무엇인가. 내가 안 한 거라는 건가. 내가 한 건데 리스크가 커서 이렇게 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인가”라고 몰아세웠다. 윤 후보의 거듭된 질문에 이 후보가 “(이 자리는) 특검을 뽑는 자리가 아니다”라고까지 했지만 윤 후보는 개의치 않았다. 그는 “둘 중 뭐냐고 묻는 것”이라며 “국민이 궁금해하는 것을 주자들이 얘기하는 것인데 엉뚱한 얘기를 한다”고 지적했다.

진행자가 이 후보에게만 질문이 집중된다고 하자 이에 답답함을 느낀 듯 윤 후보는 안 후보를 향해 질문을 하면서 이 후보의 특혜 의혹 관련 가능성을 적극 부각하기도 했다. 윤 후보는 안 후보에게 “(성남) 시장이 바보여서 밑의 사람이 다 하고 기소된 것인가”라면서 “아니면 시장이 리스크가 크다고 판단해 이렇게 설계한 것인가. 안 후보의 생각은 어떤가”라고 질문했다. 그러자 안 후보는 “본질은 1조 원 가까운 이익이 민간에 갔다는 것으로 이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답하며 윤 후보를 측면 지원했다.

한편 일자리·성장 주제 토론에서는 ‘공공기관 노동이사제’를 놓고 윤 후보와 안 후보가 격돌했다. 안 후보는 윤 후보에게 “공공기관 노동이사제에 관해 우려가 많다”며 “기업이 민주노총에 지배당해 치명적 손실을 끼칠 수 있다”고 했다. 윤 후보는 “공공기관은 국민의 것”이라며 “노동이사제는 노조에서 그저 이사가 나오는 게 아니라 노조가 근로자들 중 한 명을 추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송종호 기자·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