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정상회담 순위 두고…李 “국익 중심 실용외교” 尹 “미·일·중·북 순서로”

■ 대선 후보 첫 TV토론 - 외교안보 공방

‘사드 추가 배치’ 놓고도 입장차

李 “정치가 민생 해쳐선 안돼”

尹 "안보 튼튼해야 경제 살아"

심상정(왼쪽부터) 정의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윤석열 국민의힘,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3일 방송 3사(KBS·MBC·SBS) 합동 초청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권욱 기자심상정(왼쪽부터) 정의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윤석열 국민의힘,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3일 방송 3사(KBS·MBC·SBS) 합동 초청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권욱 기자





여야 대선 후보 4인이 첫 TV토론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될 경우 만날 주변 강대국 정상들의 ‘우선순위’를 두고 뚜렷한 입장 차이를 드러냈다. 또 사드 추가 배치를 놓고도 공방을 벌였다.

관련기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3일 KBS·MBC·SBS 등 방송 3사 합동 초청 대선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국익 중심의 실용 외교가 중요하다”며 “미국 먼저냐, 중국 먼저냐, 북한 먼저냐 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때 상황에 맞춰 협의해보고 가장 유용하고 효율적인 시점에 가장 효율적인 상대를 만나는 게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반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미국 대통령, 일본 총리, 그리고 시진핑 중국 주석과 김정은 위원장 순서로 하겠다”고 명확한 우선순위를 제시했다. 윤 후보는 “민주당 정권의 집권 기간에 친중·친북 굴종 외교를 하는 가운데 한미 관계, 한일 관계가 너무 무너져 이를 정상적으로 회복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한미 동맹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다. 그래서 미국과 함께 해결책을 찾는 것이 첫 번째”라며 “다음은 중국이다. 중국의 여러 지원 때문에 (북한이) 버티는 측면이 많지만 국제 규범에 따라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다음은 북한이라고 생각하고 그다음이 일본”이라고 덧붙였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지난 2018년 싱가포르 합의에 기초해 북미 대화가 시급히 재개돼야 한다”며 “우선 남북정상회담을 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한미정상회담을 한 뒤 필요하다면 4자 정상회담을 통해 해법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사드 추가 배치’ 공약을 겨냥해 이 후보는 “정치가 민생을 해쳐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중국과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계속 발전시켜야 한다. 우리 무역의 25%를 중국에 의존하고 협력한다”며 “왜 그걸(사드) 다시 설치해 중국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경제를 망치려 하냐. 어디에 설치할 건지 말해달라”고 요구했다. 반면 윤 후보는 사드 추가 배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북한에서 수도권을 겨냥할 경우 고각으로 (미사일을) 발사하는 경우가 많아 당연히 (사드가) 수도권에 필요하다”며 “수도권이 아니어도 강원도든, 충청도든, 아니면 경상도든 위치는 군사적으로 정해야 한다”고 맞섰다.

이 후보는 재차 공격했다. 그는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국사령관도 추가 사드가 필요없다고 했는데 왜 그 말을 계속 하느냐”며 “안보 불안을 조성해 표를 얻으려고 경제를 망친다는 지적이 있다”고 압박했다. 이에 윤 후보는 "안보가 튼튼해야 주가도 유지되고 대한민국의 소위 말하는 국가 리스크가 줄어든다"며 “브룩스 사령관 이야기는 성주에 있는 사드를 패트리엇이나 저층 방어 시스템과 연계하면 효과적이라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조권형 기자·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