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지주사도 포항으로" 지역여론에 난처한 포스코

"자회사와 시너지…서울에 있어야"

市는 동반성장 주장하며 대립각

이강덕(앞줄 왼쪽 세 번째) 포항시장과 포항시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250여명이 지난달 28일 임시 주주총회가 열린 서울 포스코센터 정문에서 포스코의 지주사 전환을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사진 제공=포항시이강덕(앞줄 왼쪽 세 번째) 포항시장과 포항시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250여명이 지난달 28일 임시 주주총회가 열린 서울 포스코센터 정문에서 포스코의 지주사 전환을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사진 제공=포항시




경북 포항을 대표하는 기업인 포스코그룹이 지주사 전환에 나선 이후 포항시와 포스코가 연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포항시가 포스코에 포스코홀딩스와 미래기술연구원의 포항시 유치를 촉구하고 있지만 포스코가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서다.

6일 포항시에 따르면 포스코그룹은 지난 1968년 창사 이후 포항에 포항제철소를 설립한 뒤 대한민국 산업화를 선도하며 포항시와 돈독한 상생 협력관계를 유지해 왔다. 지난해 11월에도 북구 환호공원에 117억 원을 들여 만든 체험형 랜드마크 조형물인 ‘스페이스워크’를 포스코가 포항시에 기부하는 등 지역 대표 기업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하지만 포스코가 지난해 12월 이사회를 열어 지주사 전환을 위한 물적분할을 결정하고 지난달 28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이를 최종 의결하면서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지주사 전환 과정에서 주주들을 위한 대책은 있었지만 포항시를 위한 상생협력에 대한 소통이 없어 포항시민을 중심으로 반발이 커지고 있어서다.

관련기사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스코가 지주사 전환 과정에서 포항시와 상생협력을 위한 어떠한 소통과 대책이 없다는 점이 매우 안타깝다”라며 “인력 유출이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지주사마저 서울에 설치돼서는 안 되며 동반성장을 위해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포스코가 지난 2018년 창립 50주년을 맞아 포항시와 체결한 상생협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에서 신소재·신성장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지만 이마저도 기대만큼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 시장은 “포스코 지주사의 설립 목적은 신산업 투자를 확대해 기업 가치를 높이겠다는 것인데 이는 포항의 미래 성장비전과 부합되는 만큼 신사업과 철강산업 고부가가치화에 대한 투자 등 구체적인 대책을 시민에게 상세히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포항시의회을 비롯해 지역 국회의원과 시민단체 등도 잇따라 성명을 발표하거나 집회를 열며 포스코그룹의 지주사를 포항시에 둬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앞서 포항시 시민·사회단체 회원 250여 명은 지난달 28일 주주총회가 열린 서울 포스코센터 정문에서 상생협력을 담보하지 않는 지주사 전환을 반대하는 집회를 개최했다.

반면 포스코그룹은 포스코홀딩스가 포스코를 비롯해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포스코케미칼 등 자회사의 경쟁력 강화와 미래 신사업 발굴을 맡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본사가 포항에 있어야 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이 때문에 포항시와 포스코그룹의 대립은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포항=손성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