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포시, 73만8,000명 대도시 청사진… 2035년 도시기본계획 최종 승인







경기 김포시는 2035년 계획 인구 73만8,000명으로 설정하는 내용 등을 담은 도시기본계획을 경기도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7일 밝혔다.

도시기본계획에서는 계획인구가 가장 중요하다.

각종 기반, 편익시설의 지표나 행정, 교육, 복지, 경제 등 모든 분야가 인구를 바탕으로 계획되기 때문이다.

계획인구는 주거·상업·공업 용도로 개발이 가능한 시가화예정용지 46.057㎢ 확보와 더불어 개발사업 등 지속적인 도시성장을 이끄는 동력이다.

종전 ‘2020 도시기본계획’의 목표인구 59만명 대비 증가 된 계획인구 14만8,000명은 김포한강신도시의 계획인구 15만 명과 맞먹는 규모다.

이번 도시기본계획 승인으로 풍무역세권과 한강시네폴리스와 같이 이미 본궤도에 오른 사업 외에도 신규 개발사업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김포시는 현재 신규 개발사업 추진 시 공공·기반시설의 확보를 역점에 두고 검토하고 있다.

사업으로 발생되는 이익을 공공·기반시설로 환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성장을 추구하고 있는 도시마다 계획인구의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 때문에 신도시급 인구를 추가한 김포시의 계획인구 73만8,000명 확정은 상당히 고무적인 결과다.

또 김포시는 철도와 도로로 대표되는 광역교통시설 확충에 총력을 기울인다.



이를 위해 상급 기관에서 확정하거나 추진 중인 철도와 도로망 계획에 김포시 자체 계획을 이번 도시기본계획에 대폭 반영했다. 게다가 지구단위계획으로 부동산 가치가 오른 만큼 개발이익을 환수해 광역기반시설에 투자한다.

관련기사



의료, 교육, 사회복지, 공원 등 각종 계획지표를 채워나가면서 시민들이 개발이익을 직접 누릴 수 있도록 한다는 전략이다. 이와 함께 대학병원과 대학교, 대형복합쇼핑몰, 백화점 등 도시발전에 필수적인 시설의 유치도 인구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개발사업과 기반시설의 물리적인 배치는 도시의 확대와 성장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2035년 김포 도시기본계획은 지역간 균형발전을 추구하는 큰 틀의 공간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기존의 3개 생활권을 남부, 북부 두 개로 개편해 유연한 개발전략 수립이 가능하도록 했다.

또 김포한강신도시는 양촌읍 석모리, 누산리 일대를 포함한 양촌·한강신도시로 확대되는 등 김포의 중심 도심으로 자리 잡게 된다.

각종 규제로 축소됐던 한강신도시의 미개발지를 ‘스마트 자족신도시 220만 평’ 전략사업으로 추진한다.

양촌·한강신도시 권역은 주거·상업, 문화 시설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북부권 4개 읍면은 산업과 경제시설을 배치해 생활권간 균형발전을 꾀한다.



국도 48번호선을 따라 이어진 ‘기존도시성장축’과 함께 ‘남북교류성장축’ 인근에는 애기봉평화생태공원 배후단지, 평화경제특구, 스마트에코 경제도시 등 전략사업이 연결된다. 특히 북부권 4개 읍면은 첨단 소재부품, 융복합, 평화·문화·관광 등 미래 먹거리 산업을 육성해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통진·대곶은 산업, 경제 기능을 강화하고 월곶·하성은 평화, 생태, 관광에 집중해 김포 전역의 자족기능을 높일 예정이다.

김포시는 2023년부터 인구 50만 명이 넘는 대도시로 진입한다.

행정권한이 대폭 확대되면서 생활 만족도와 자긍심 높은 자족도시를 향한 다양한 정책들이 속도감 있게 추진될 예정이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