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확진자 투표는…50만명 '3·9 선택' 못하나

내달 초 재택치료 100만명 육박

김부겸 "15일 전까지 대책 마련"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7일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권욱 기자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7일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권욱 기자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한 달 앞두고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재택치료자들의 참정권 보장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여야 모두 대책 마련을 촉구하자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참정권을 지킬 수 있는 대안들을 검토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공식 선거운동 기간이 시작되는 오는 15일까지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정 청장은 7일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3월 초에 재택치료자가 100만 명에 달할 것으로 보느냐”는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그렇다”고 답했다. 허 의원은 “전문가들에 따르면 대선일(3월 9일) 전후 하루 최대 17만 명의 확진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우려했다. 이에 정 청장은 “(현장 투표를 위한) 격리 해제는 신중해야 하지만 참정권도 중요하므로 방법을 찾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도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관계 부처의 의견을 받아 15일까지 (대책을) 최종 결정하겠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질병관리청의 준비가 유권자의 참정권을 보장하는 데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원이 민주당 의원은 “질병관리청은 이달에만 두 차례 (참정권 보장을 위한) 대책 회의를 열었다”며 “논의 과정을 살펴보면 지난 21대 총선과 4·7 재보궐선거에 준해서 준비를 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김 의원은 “이전에는 하루 확진자가 500명을 넘지 않는 상황에서의 현장 투표였다. 이번에는 확진자 규모가 당시의 30배가 넘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김 의원은 사전투표일(3월 4~5일) 이후 확진된 유권자에 대한 대책이 없다는 것에도 주목했다. 현재 선거관리위원회 방침에 따르면 사전투표일 이전에 확진된 사람은 9~13일 거소 투표를 신청하거나 생활치료센터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사전투표를 할 수 있다. 하지만 3월 6일부터 9일 사이의 확진자들은 투표할 방법이 없다. 김 의원은 “하루 15만 명 확진된다고 가정하면 3일 동안 총 45만 명”이라며 “선거의 당락을 가를 규모”라고 강조했다. 45만 명은 2022년 1월 기준 전체 유권자의 1.32%다.

이에 확진자들의 현장 투표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 청장은 “이동 수단과 동선을 구분하면 확진자들의 현장 투표가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신현영 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현재도 진료가 필요하면 자차로 이동한다. (현장 투표가) 불가능하지 않다”고 답했다. 다만 정 청장은 “전염력을 무시할 수는 없다”며 “참정권과 방역 두 부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