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스코 “지주사 전환은 지역사회 발전에 더욱 기여”

“인력 유출·세수 감소 없어”

포스코 본사는 여전히 포항

“신사업 결실, 지역 투자”

포스코 포항제철소. 사진 제공=포스코포스코 포항제철소. 사진 제공=포스코




포스코는 8일 오후 입장문을 내고 “지주사 출범으로 인해 포항, 광양지역 인력 유출이나 지역 세수 감소는 전혀 없다”며 “포스코의 본사는 여전히 포항”이라고 밝혔다. 이어 “포스코는 여전히 포스코그룹의 핵심사업으로 앞으로도 철강산업에 있어 글로벌 최고의 경쟁력을 지속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투자를 이어 나갈 것”이라며 “지주사 전환을 통한 그룹의 균형성장은 포항지역 발전에 더욱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스코는 향후 글로벌 탄소중립 대전환에 발맞춰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 등 철강사업 발전과 경쟁력 유지에 집중하고, 지주사는 친환경 신사업 발굴과 투자를 담당함으로써 포스코그룹의 100년 성장 기틀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는 “지주사 본사를 포항에 두자는 것은 명분일 뿐 경제적 효과는 전혀 없다”며 “지금도 서울에 근무하는 그룹 전략본부가 지주사로 분리되는 것일 뿐 포항·서울간 인력 이동이 전혀 없기 때문에 세수 등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포스코는 “미래기술연구원 수도권 설립도 국내외 우수한 과학자 영입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포스코가 그룹차원에서 미래기술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신성장 사업을 추진하면 신규 투자, 일자리 창출이 증가하면서 포항, 광양 지역 발전에도 더욱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미래기술연구원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이차전지 소재와 수소와 관련된 사업장은 포항, 광양을 최우선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미래기술연구원 설립으로 인한 포항, 광양지역의 인력 유출도 전혀 없다”며 “미래기술연구원은 신사업 연구를 전담하고 철강연구는 기존과 같이 지역 기반의 연구소에서 변함없이 지속할 예정”이라고 했다.

포스코는 “지난 50여 년 성장해오면서 ‘포스텍’, ‘포항교육재단’을 설립해 포항을 교육도시로, 지난 해에는 ‘파크1538’, ‘스페이스워크’를 개관하며 포항을 전국적인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했다”며 “‘체인지업 그라운드’설립으로 포항을 벤처기업들의 요람이자 한국의 실리콘 밸리로 탈바꿈시켜 창업 활성화와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앞으로도 부생수소 생산설비 증설과 수소출하센터 충전소, 고순도니켈공장, 양극재 6만 톤 공장 신설 등 신사업 분야 투자와 포항 1고로 박물관 설립 등 지속적인 투자와 사회 공헌을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 발전하고 공존해 나갈 것”이라고 투자 계획을 내놨다. 앞서 포스코는 지난 1월28일 임시주주총회에서 출석주주 89%의 찬성으로 지주회사 체제 전환 안건을 가결해 오는 3월2일 지주사 전환을 앞두고 있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