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외교부 "中서 한복은 한국 고유의 전통문화 밝혀와"

문화침탈 우려에 정부가 적극 대응 입장도 밝혀

4일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손을 흔들고 있다./베이징=연합뉴스4일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한복을 입은 한 공연자가 손을 흔들고 있다./베이징=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한복공정’ 논란과 관련 “베이징올림픽 개회식 공연은 문화 원류 문제와 무관하다”는 입장을 전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8일 외교부에 따르면 중국 정부 측은 “올림픽 개회식 공연에 중국 내 여러 소수 민족이 각자 전통 복장을 그대로 착용하고 출연한 것으로 한국이 문화적으로 특별히 우려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복이 한국과 한민족 고유의 전통문화라는 명백한 사실은 변함이 없을 것이라는 중국 측 반응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외교부 관계자는 “중국은 큰 행사에서 조선족, 러시아족, 카자흐족, 몽골족 등이 각자 전통의상 입고 출연하는 행사가 계속 이어져 왔었다”며 “외교당국은 중국에 적절한 경로로 우리의 국내적 관심과 우려를 정확하게 전달했다”고 언급했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의 문화침탈 우려에 대해 정부가 적극 대응하고 있다는 입장도 내놓았다. 그는 “외교부는 문화 관련 논쟁 동향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중국 측에 대해서는 특히 고유한 문화에 대한 존중과 문화적 다양성에 기초한 이해 증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지속해서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올해는 한중 수교 30주년 및 한중 문화 교류의 해”라며 “양국은 고유문화에 대한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 교류 활성화와 한중 국민 간 이해 제고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