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카카오페이 지난해 거래액 급증했지만…영업손실 272억원

전년 179억에 비해 적자폭 확대

올해 핵심 사업 방향 '백 투 베이직'으로





카카오페이는 지난해 연간 거래액은 급증했지만 272억원의 영업 적자를 기록했다. 카카오페이 측은 주식 상장 및 보상 비용 등 영업비용 증가를 영업 적자 요인으로 꼽았다. 올해 카카오페이는 핵심 사업 방향을 ‘백 투 베이직(Back to the Basic)’으로 잡고, 출범 당시의 초심으로 돌아가 사용자 경험에 집중해 사업의 기틀을 견고히 다지는 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페이는 지난해 연결 기준 연간 영업손실이 272억원으로 적자를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전년 179억원과 비교해 적자 폭이 확대했다. 카카오페이 측은 “지난해 일시적으로 발생한 주식보상비용 및 스톡옵션 행사에 따른 4대보험 증가분, IPO 부대 비용을 제외할 경우 영업이익은 99억 원, EBIDTA는 220억 원”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지난해 연간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99조원, 연간 연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한 4586억원으로 나타났다. 거래액 중 금융 부문은 총 139개 금융사와의 제휴를 기반으로 연간 거래액이 193% 증가했다. 연간 펀드 투자 거래액은 156%, 대출 중개 거래액은 3배 이상 늘어나며 금융 플랫폼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결제 부문 연간 거래액은 온라인 결제액 67%, 오프라인 결제액이 77% 증가하면서 2020년 대비 총 68% 성장률을 보였으며, 송금 부문도 37% 증가했다.

카카오페이는 올해 사업 방향을 ‘Back to the Basic’으로 잡고 초심으로 돌아가 사업의 기틀을 견고히 다지는 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카카오페이가 성장해올 수 있었던 원동력인 ‘사용자 경험’에 집중해 △핵심 서비스에서의 사용자 경험 향상 △사용자 경험의 일관성 확보 △핵심 서비스와 수익 사업의 연결고리 강화라는 3가지 목표를 달성함으로써 펀더멘탈을 더욱 튼튼하게 만들겠다는 의지다.

그 중 하나로 카카오페이증권이 사전 예약자 대상으로 순차 공개하고 있는 주식 베타 서비스를 다음주부터 전체 사용자 대상으로 공개한다. 현재 국내 주식과 미국 주식을 한 곳에서 매매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와 미국에 상장된 ETF?ETN에도 투자 가능하다. ‘간편주문’, ‘자동주문’, ‘자동환전’ 등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UI?UX와 국가별 주요 지수, 전문적인 캔들 차트, 호가창과 같이 주식 경험이 많은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들도 풍부하게 담은 점이 특징이다. 주식 서비스는 3월 중에 해외 주식 소수점 매매 기능을 탑재한 후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