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마크롱 “푸틴이 우크라 긴장고조 않겠다’ 확인"

젤렌스키 우크라 대통령 “말 아닌 행동 필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이 7일(현지시간) 모스크바를 방문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AFP연합뉴스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왼쪽)이 7일(현지시간) 모스크바를 방문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AFP연합뉴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내 긴장을 고조시킬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말이 아닌 행동이 필요하다며 푸틴 대통령의 행동을 촉구했다.



AFP·인테르팍스 통신 등에 따르면 전날 푸틴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 이어 이날 우크라이나 키예프를 찾아 젤렌스키 대통령과 만난 마크롱 대통령은 회담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이제 우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의 협상을 진전시킬 가능성을 갖게 됐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또 “러시아와 서방 간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해결책을 보았다”고 덧붙였다.

마크롱 대통령은 그러나 푸틴 및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구체적 합의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또 푸틴과 젤렌스키 대통령 모두로부터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정부군과 친러 분리주의 반군 간 교전을 멈추기 위한 ‘민스크 평화 협정’을 존중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그는 민스크 협정이 돈바스 지역 분쟁을 해결하고 지속적인 평화로 나아갈 유일한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그는 돈바스 분쟁 해결 방안 논의를 위한 노르망디 형식 회담 참가 4개국 정상 정책보좌관들의 회의가 오는 10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릴 것이라고 전했다.

노르망디 형식 회담이란 러시아와 국경을 접한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의 정부군과 친러 분리주의 반군 간 분쟁 해결 방안을 논의하는 러시아·우크라이나·독일·프랑스 4개국의 협상 틀을 일컫는다.

다만 젤렌스키 대통령은 마크롱 대통령의 낙관적인 전망에 전적으로 동의하진 않고 있다.

우크라 긴장을 고조시킬 계획이 없다는 푸틴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해서는 “나는 사실 말을 믿지 않는다. 모든 정치인은 구체적인 조처를 함으로써 투명해질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가까운 미래에 노르망디 형식 4자 정상회담을 열게 되길 기대한다”는 바람을 표시했다.

노르망디 형식 정상회담은 2019년 12월 마지막으로 열렸다.

그는 이날 회견에서 프랑스가 우크라이나 경제 안정화를 지원하기 위해 12억 유로(약 1조6000억 원)의 재정지원을 하기로 했다는 사실도 전했다.


박성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