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집값 오르면 고령층 은퇴도 늘어난다

한은, 고령층 주택매매가격·노동공급 분석

주택값 10% 오르면 은퇴확률 1.3%p 상승

“부동산 편중된 가계 보유자산 다양화해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노인들이 장기를 두고 있다. /연합뉴스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노인들이 장기를 두고 있다. /연합뉴스




주택가격이 오르면 고령층이 경제활동을 그만둘 확률도 높아진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은행 미시제도연구실 정종우 부연구위원은 9일 ‘주택의 자산가치 변화가 고령자의 노동 공급과 은퇴 결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2006년부터 55∼70세 고령자 3664명을 대상으로 12년간 주택매매가격지수와 노동 공급상황 등을 추적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보유한 주택의 자산가치가 10% 상승할 경우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율과 근로시간은 각각 1.8%포인트와 6.1%포인트 하락하고, 은퇴 확률은 1.3%포인트 상승했다. 성별로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별로는 72세에 가까울수록 주택가격 변화가 은퇴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다.

관련기사



특히 주택가격 상승세가 예상한 수준을 웃돌 경우 은퇴확률이 더 크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가격이 과거 3년간의 추이를 바탕으로 예상한 수준보다 10%포인트 더 오르면 고령자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근로시간 하락 폭은 각각 6.5%포인트로와 6.4%포인트씩 하락했다. 이에 따라 은퇴확률 상승 폭은 4.8%포인트로 더 커졌다. 반면 주택가격이 예상한 수준만큼 상승한 경우에는 노동공급과 은퇴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정 부연구위원은 “주택 자산가치의 변화가 고령자의 노동 공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우리나라 고령층의 노후가 부동산 경기 변동과 연관성이 높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부동산이 가계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0%에 달하고, 고령 가구로 갈수록 주택소유율이 높은 탓에 주택가격이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은 해외보다 높게 나타난다는 설명이다.

그는 “부동산경기 안정 등을 통해 가계 보유자산이 특정 자산군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고령층의 노동수요와 공급 간 매칭 효율성을 제고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