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4년 만에 8%대 임금인상 꺼낸 노동계…임협 갈등 불가피

한국노총 8.5% 제시…4년 만에 8%대

기업도 코로나·고물가 타격…교섭 난항

작년 7월 신도림역에서 시민들이 환승을 위해 역사를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작년 7월 신도림역에서 시민들이 환승을 위해 역사를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노총이 올해 임금 인상요구율을 8.5%로 4년 만에 최고치로 결정했다. 근로자뿐만 아니라 기업도 코로나19 사태를 겪기는 마찬가지여서 사업장별 임금협상을 둘러싼 갈등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노총은 9일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올해 임금인상 요구율을 8.5%로 정했다고 밝혔다. 이 요구안은 한국노총 산하 노동조합이 임금 교섭 때 쓰는 기준이다. 한국노총 조합원은 145만명이다.

관련기사



월 정액임금 기준으로는 31만3596원이 오르는 올해 인상률은 4년 만에 최고치다. 한국노총은 2018년 9.2%를 결정한 이후 2019년 7.5%, 2020년 7.9%, 지난해 6.8%로 8%대 아래에서 인상 수준을 결정해왔다.

한국노총은 올해 인상폭에 대해 경제성장전망률 전망치 3.1%,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 2.2%, 협약임금 평균인상률 3% 등을 고려했다고 설명했다. 한국노총 측은 "최근 물가 상승이 10년 만에 최대 폭이 올라 노동자의 가구 생계비가 급증했다"며 "코로나19 사태로 노동자의 임금 인상 요구도 높아졌다"고 부연했다.

우려는 근로자의 상황이 나빠진만큼 기업들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영악화 탓에 임금 인상 지급 여력이 낮아졌다는 점이다. 게다가 경영계를 대표하는 경제단체인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019년부터 임금인상안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일률적인 협상 기준이 사라진 상태인 탓에 사업장별로 임금인상폭을 두고 갈등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게다가 임금 인상폭은 늘 근로자의 눈높이 아래였다. 실제로 한국노총이 작년 단위노조의 평균 임금인상요구율을 조사한 결과 전체 요구안인 6.8% 보다 0.2%포인트 낮은 6.6%였다. 하지만 실제 교섭 이후 임금인상률은 4.3%로 더 낮았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