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윤석열 "예술·과학고로 나눠야"…네티즌 "이미 나눠져 있는데?"

국민의힘 측 "원래 취지대로 정상화해 다양성 살리자는 것"

/유튜브 캡처/유튜브 캡처




"중학교까지는 정규 교과과정을 똑같이 배우는 시간을 줄이고, 고등학교 때는 학교를 나눠야 한다. 기술고등학교, 예술고등학교, 과학고등학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지난 9일 홍진경의 유튜브 채널 ‘공부왕 찐천재’에 일일강사로 출연해 "교육은 다양성을 키워줘야 한다. 똑같은 커리큘럼으로 가르치면 발전이 없다"며이같이 말했다. 이 발언을 들은 네티즌들로부터 현실을 모른다고 지적을 받았다.

/유튜브 캡처/유튜브 캡처



윤 후보는 홍씨에게 이차방정식을 가르치던 중 교육정책 관련 질문을 받고 다양성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이같이 답했다. 윤 후보는 "학교가 다양한 공부를 할 수 있게 기회를 주는 게 오히려 큰 공정이다. 각자 자기가 갖고 있는 특성에 따라 공교육에서 기회를 만들어주는 건 큰 차원의 공정"이라며 교육의 다양성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윤 후보의 해당 발언이 공개되자 비판의 댓글이 달렸다. 현행 교육 정책에 이미 존재하는 특성화고와 특목고를 대안으로 내놓은 윤 후보를 비꼰 것이다. 네티즌들은 “70년대에서 타임워프 하셨나”, “한 10년 전에 찍은 녹화방송인가?”, “진짜 아는 게 1도 없네” "드디어 우리나라에도 과학고 생기는 거냐”등의 반응을 보였다. 다른 온라인 커뮤니티나 SNS 등에서도 “올드보이냐”, “후보가 세상 물정을 너무 모른다” 등의 지적이 이어졌다.

이에 국민의힘 선대본부 측은 “현재도 과학고, 외고, 예술고, 기술고, 인문계 등 고등학교가 기능별로 나눠져 있지만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지 않느냐”며 “외고나 과학고를 나와서 의대에 가는 현실을 바로 잡아 원래 취지대로 정상화하고 교육의 다양성을 살리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윤 후보의 이 같은 발언은 처음이 아니다. 그는 지난해 12월에도 청년 일자리 문제를 언급하며 "조금 더 발전하면 학생들이 휴대전화에 앱을 깔아 어느 기업이 지금 어떤 종류의 사람을 필요로 하는지 실시간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해 네티즌으로부터 "세상 물정을 너무 모르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김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