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인권위 “대학 내 비정년 계열 전임교원 의결권 행사 배제는 차별”

“수당 및 상여급 지급 차별 없도록 기준 마련하라”





대학이 비정년 계열 교원을 학내 의결권 행사에서 배제하고 각종 수당을 미지급하는 등 불리하게 대우하는 것은 차별이라는 국가인권위원회의 판단이 나왔다.



10일 인권위는 A 대학교 이사장에게 의결권 행사를 할 때 비정년 계열 전임교원의 참여가 배제되지 않도록 관련 규정을 개정하고 각종 수당과 성과상여금 지급에서 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리적 기준을 마련하라고 권고했다.

관련기사



인권위가 비정년 계열 전임교원의 학내 의결권 행사와 관련해 시정 권고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정년계열 교원은 재임용되거나 정년을 보장받는 교원으로 승진할 수 있다. 하지만 비정년 계열 교원은 임용 당시 계약에 따라 정년을 보장받는 교수로 승진할 수 있는 임용 기회를 제한받는다.

A 대학 비정년 전임교원인 진정인들은 각종 처우에서 정년계열 전임교원에 비해 불리한 대우를 받고 있다며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진정에 대해 A 대학은 “사립대학 교원 임용은 대학의 자율성에 속하고, 학내 의결권 부여는 교수평의회 등 구성원 단체가 협의해 정할 사안”이라며 “각종 수당도 '교직원 보수 규정'에 따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인권위 조사 결과 비정년 계열 전임교원이 A 대학의 대학평의회에 교수 평의원으로 참석할 가능성은 희박했다. 참석을 위해서는 교수평의회 추천을 받아야 하는데, 교수평의회가 정년계열 전임교원으로만 구성돼있는 탓이다. 또 규정상 비정년 계열 전임교원은 교수회의에도 참여할 수 없었고, 정년계열 전임교원과 유사한 업무를 하는데도 비정년 계열 전임교원은 각종 수당과 성과상여금 등을 받지 못했다.

인권위는 “비정년 계열 전임교원이 학내 구성원이자 교수 지위에 있는데도 학내 의결권과 관련해 배제되는 건 합리적인 이유가 없다”며 “가족수당·자녀 학비 보조수당·후생 복지비는 해당 사업장에 고용된 모든 근로자에게 똑같이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보수고, 성과상여금도 직전 학년도의 성과와 업적을 기준으로 평가해 연 1회 지급하는 성격의 보수”라고 지적했다. 이어 인권위는 “비정년 계열 전임교원들에게 이런 수당과 성과상여금을 전혀 지급하지 않는 건 합리적이지 않다”고 밝혔다.


심기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