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유권자 5명중 1명 "토론 보고 지지자 바꿀수 있다"

■서울경제-칸타코리아 '대선 여론조사'

20대 48%·30대 33%로 젊은층 변경 가능성 높아

지난 3일 오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대선 후보 TV 토론을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지난 3일 오후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대선 후보 TV 토론을 시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권자 5명 중 1명은 11일 예정된 2차 대선 후보 TV 토론을 시청한 뒤 지지 후보를 변경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30세대와 무당층일수록 지지 후보 변경 가능성이 높았다.

서울경제가 칸타코리아에 의뢰해 지난 8~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2차 TV 토론 시청 후 지지 후보를 바꿀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3.1%였다. ‘계속 지지하겠다’는 응답은 73.4%, 모름·무응답은 3.5%였다.



특히 캐스팅 보터로 떠오른 젊은층에서 TV 토론에 대한 민감도가 높았다. 지지 후보를 바꿀 수 있다는 응답은 20대 이하에서 무려 48.6%에 달했다. 30대는 33%였다. 반면 50대는 16.1%, 60대 이상은 8%만이 TV 토론을 보고 지지 대상을 변경하겠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아직 투표 대상을 정하지 못한 무당층도 토론에 임하는 후보자들을 주의 깊게 바라볼 예정이다. ‘지지 정당이 없다’는 응답자의 38.3%, ‘지지 후보가 없다’는 응답자의 42%가 TV 토론을 보고 지지 후보를 바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모두 배우자 리스크 등 예기치 못한 악재에 안심할 수 없는 만큼 TV 토론을 통한 지지층 확대의 필요성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은 “부동층이 현재 20%에 육박하는데 이들 중 절반을 끌어안는다면 전체 지지율이 10%가량 오르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심상정 정의당 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 지지자들도 변수다. 선거가 임박할수록 사표 방지 심리로 인해 TV 토론에서 더 나은 모습을 보여준 거대 양당 후보에게 투표할 가능성이 높다. 심 후보 지지자의 49.4%, 안 후보 지지자의 41.6%는 TV 토론 시청 후 지지 후보 변경 의사가 있다고 답했다. 반면 이 후보와 윤 후보 지지자들은 각각 18.2%, 12.5%만이 지지 변경 의사를 보였다.

  • 한편 TV 토론회에 대한 유권자들의 관심은 컸다. TV 토론을 시청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83.9%(반드시 시청 46.4%, 웬만하면 시청 37.5%)였다. 시청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15%(전혀 시청하지 않을 것 4.8%, 별로 시청 생각 없음 10.2%)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88.2%), 유선(11.8%) 임의전화걸기(RDD)를 활용한 전화 면접원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이며 응답률은 10.3%였다.(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김남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