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총리실

김총리 "신속항원검사 키트, 최고가격제 도입도 검토"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은 "방역상황 보며 결단" 밝혀

김부겸 국무총리가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김부겸 국무총리가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김부겸 국무총리가 11일 신속항원검사 키트 공급과 관련 “최고가격제 도입까지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지난 2년간 만들어온 방역·의료 전반을 혁신하는 개편이 큰 틀에서 마무리됐다”며 “이제 빈틈없는 실행과 끊임없는 보완이 남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충분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일, 개편된 재택치료·격리 시스템에 맞게 생활지원비 기준을 조정하는 일, 의료기관에 출입하는 간병인이나 보호자의 진단검사 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일, 면역수준이 저하된 사람에게 4차 접종의 기회를 주는 일 등이 그 예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신속항원검사 키트와 관련해선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최고가격제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김 총리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과 관련해선 방역상황을 살펴보며 결단을 내리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방역상황을 면밀히 분석·평가해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조정함으로써 경제·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일도 매우 중요하다”며 “위중증과 사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방역상황을 어느 정도 관리할 수 있다는 판단이 들면 언제라도 용기 있는 결단을 내리겠다”고 언급했다.

또 방역체제 개편에 따른 국민의 오해에 대해서도 해명했다. 그는 “지난 2년간 만들어온 방역·의료 전반을 혁신하다 보니, 일각에서 오해와 혼선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통제포기, 재택방치, 각자도생 등 과격한 표현까지 등장하고 있지만, 정부가 아파하는 국민을 외면하거나 손을 놓거나 하는 일은 결코 있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에 맞게 위중한 사람을 중심으로 의료역량을 집중하되, 나머지 국민들에게도 적절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중대본에서는 가축전염병 확산상황도 점검했다. 최근 충남, 충북 등 4개 시도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데 이어 경북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야생 멧돼지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김 총리는 “정부와 지자체, 농가들은 긴장감을 가지고 방역에 빈틈이 없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농식품부는 농장 방역시설을 보강하고, 환경부는 야생 멧돼지 개체수 저감에 인력과 장비를 집중 투입해달라. 각 지자체는 위기의식을 갖고 농가 방역상황을 점검해달라”고 주문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