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美연구진 " 부스터샷 접종효과 4~5개월 뒤 66%로 급감"… 4차 접종 추진에 힘실리나

CDC 지원 받은 연구결과 11일 공개

성인 코로나19 감염자 33만명 조사

2차 접종효과 5개월뒤 37%로 하락

3차 접종 효과 5개월 뒤엔 31%불과

고위험군에 4차 접종 필요론 대두돼

한 여성이 지난해 12월 29일(현지시간) 미국 메사추세츠주 로렌스의 한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고 있는 모습. /AP·연합뉴스한 여성이 지난해 12월 29일(현지시간) 미국 메사추세츠주 로렌스의 한 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고 있는 모습. /AP·연합뉴스




코로나19 백신을 추가접종(부스터샷)해도 넉 달이 지나면 중증 예방 효과가 크게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공개됐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11일(현지시간) '질병 발병·사망률 주간보고서'(MMWR)를 통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밝혔다고 뉴욕타임스(NYT)가 전했다.

관련기사



연구 결과 백신은 2회차 접종후 2개월까지는 접종자가 응급실이나 긴급치료 클리닉에 가지 않도록 막는 효과가 69%에 이르렀다가 5개월을 넘기면 37%로 떨어졌다. 여기에 더해 부스터샷을 접종시 해당 비율은 87%까지 상승했지만 점차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스터샷 4∼5개월 내에 해당 효과는 66%까지 떨어졌고, 5개월을 넘긴 후부터는 31%로 감퇴했다.

NYT는 이번 연구 결과가 합병증이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고위험군에 대한 4차 접종 필요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지난 9일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또 다른 부스터샷, 그러니까 메신저 리보핵산(mRNA)을 맞은 사람들에게 4번째 백신이 필요할지도 모른다"며 "이는 나이나 기저질환에 달려 있을 수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다만 NYT는 이번 연구가 증상을 보여 병원을 찾은 사람에 초점을 맞췄다고 보도했다. 따라서 이들이 고령자나 손상된 면역 체계를 가진 사람으로 편향됐다면 부스터샷의 효과가 실제보다 더 약한 것으로 나타났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연구는 CDC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아 지난해 8월 26일부터 올해 1월 22일까지 미국 10개 주에서 실시됐다. 조사 대상은 18세 이상 성인 중 코로나19에 감염돼 병원 응급실이나 긴급치료 클리닉을 방문한 이력을 갖고 있는 24만1,200여명 및 병원에 입원한 9만3,400여명이었다.


뉴욕=김영필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