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반도체 업계 ‘기술에는 정년 없다’…전문가 붙잡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








국내 반도체 업계가 우수한 기술 인재를 대상으로 속속 정년을 없애고 있다. 반도체 시장이 날로 커져 가면서 인력이 필요하지만 원활한 공급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다양한 전문가 확보 방안을 모색하는 분위기다.

관련기사



13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부터 우수 인력이 정년 이후에도 계속 근무할 수 있게 ‘시니어 트랙’ 제도를 시행하기로 하고 세부 내용을 가다듬고 있다. 앞서 삼성전자는 인사제도 개편을 통해 고령화, 인구절벽 등 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축적된 기술력과 경험의 가치가 존중받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이 제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현재 시니어 트랙 자격 요건, 연장 기한, 처우 등 구체적인 시행 지침을 마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은 지난달 신년사에서 “훌륭한 기술 인재에게 정년이 없는 회사를 만들겠다”고 선언해 재계의 주목을 받았다. SK하이닉스는 우수한 기술 전문가가 정년인 60세가 지나도 계속 근무할 수 있게 하는 기술 전문가 제도(Honored Engineer·HE)를 2018년 12월 도입해 2020년에 1호 전문가를 배출한 바 있다. SK하이닉스는 이와 함께 사내 대학을 통해 ‘정년없는 엔지니어’들을 키워나간다는 계획이다. 2017년 설립한 사내 대학 ‘SKHU’(SK hynix University)에는 ‘전문 교수 제도’가 있다. 임원들이 퇴직 후 SKHU 전문교수진에 들어가 자신이 보유한 지식을 후배들에게 전수하는 것이다. 앞으로 정년이 없어진 우수 엔지니어들도 실무에 근무하면서 때에 따라서는 사내 대학에서 후배들 교육에 참여하는 형태로 일하게 될 전망이다. 지난해 이 대학의 교육과정은 6600개를 넘어섰으며, SK하이닉스의 구성원 3만명이 학습한 시간은 연간 160만 시간을 넘었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반도체 무한경쟁 상황에서 정부나 기업 모두 우수 인재를 외국에 빼앗기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SK하이닉스처럼 기술 인재의 정년을 없애 은퇴할 나이 이후에도 국내에서 기여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