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한일 외교장관, 초면부터 또 '충돌'…"사도광산·수출규제 항의"

정의용, 첫 만남서 "올바른 역사인식이 관계 근간"

日도 자기 입장만 설명…文 임기 말까지 '평행선'

정의용(왼쪽) 외교부 장관과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12일(현지시간) 하와이 호놀룰루에 있는 아태안보연구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정의용(왼쪽) 외교부 장관과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12일(현지시간) 하와이 호놀룰루에 있는 아태안보연구소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일 외교장관이 첫 만남부터 과거사 문제 등으로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 말까지도 양국 관계가 쉽게 개선될 기미는 보이지 않는 분위기다.



13일 외교부에 따르면 정의용 장관은 12일(현지시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만나 40여분간 회담을 가졌다. 두 사람의 대면 회담은 지난해 11월 하야시 장관 취임 후 처음이다. 이들은 지난해 12월 영국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외교개발장관 회의에서 잠깐 조우한 적은 있지만 회담은 갖지 않았다. 전화 통화조차 취임 3개월 만인 지난 3일 겨우 이뤄졌다.

관련기사



대면 만남에서도 두 나라 간 갈등은 그대로 이어졌다. 정 장관은 “한일 양국은 동북아와 세계 평화, 번영을 위해 함께 협력해 나가야 할 가장 가까운 이웃국가”라며 “올바른 역사인식이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발전의 근간”이라고 강조했다. 두 나라 간 관계에 ‘올바른 역사 인식’을 우선해야 함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정 장관은 이어 “이러한 역사인식은 과거 한일간 대표적 회담·성명·선언에서도 공유돼 온 것”이라며 “피해자들이 수용할 수 있는 해법을 찾기 위해 외교당국 간 협의를 가속화하자”고 제안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강제징용 문제 해결에 일본 정부의 전향적 자세를 요구한 것이다.

정 장관은 그러면서 최근 일본 정부의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추진 결정에도 항의했다. 정 장관은 “2015년 ‘일본 근대산업시설’ 등재 시 일본 스스로 약속한 후속조치부터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 장관은 또 “우리의 특정 산업을 겨냥해 취해진 일본의 수출규제가 현재 한미일 간 세계 공급망 안정 강화협의와도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다”며 일본이 수출규제 조치를 조속한 시일 내에 철회해야 한다는 점도 지적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하야시 장관도 일본 정부의 입장만 설명했다. 두 나라의 입장이 또 다시 평행선을 달린 셈이다. 외교부는 이와 함께 두 장관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조기 재가동을 위한 대북 대화의 필요성, 한일·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