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중장기 경제효과 112.8조…원화도 기축통화 편입돼야"

전경련, IMF 비중 재검토 앞두고

경제위상 등 5개 편입근거 제시

89만2000명 고용 창출 기대도





한국의 경제적 위상을 고려해 원화를 기축통화로 편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한국 경제의 위상 △국제통화기금(IMF) 설립 목적 부합 △세계 5대 수출 강국 △국제통화로 발전 △정부의 국제화 노력 등 다섯 가지 근거를 들어 원화가 IMF 특별인출권(SDR) 통화바스켓에 포함돼야 한다고 13일 밝혔다.



IMF 집행이사회는 올해 SDR 통화바스켓 통화 구성과 통화별 편입 비중을 재검토한다. SDR은 기축통화에 대한 교환권으로 바스켓의 5개 통화인 미국 달러, 유럽 유로, 중국 위안, 일본 엔, 영국 파운드 등과 바꿀 수 있다. 이들 5개 통화는 국가 간 무역·자본 거래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돼 기축통화로 불린다.

관련기사



전경련은 “한국은 지난 2020년 국내총생산(GDP)과 교역액이 모두 글로벌 10위권에 드는 경제 대국으로 기존 SDR 통화바스켓 편입국보다 높은 국가 신용등급을 유지하고 있다”며 “한국은 세계 최초로 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도약해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 빈곤 감소, 국제무역 활성화 등 IMF가 추구하는 설립 목적에도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SDR의 주요 기능이 개발도상국 원조인데 원화 편입 자체로 SDR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이 전경련의 설명이다.

전경련은 또 한국의 수출액이 최근 5년간 세계 5위를 차지했고 국제 결제 수단으로 원화 사용이 늘고 있어 SDR 바스켓 편입 조건도 충족한다고 부연했다. 한국은 미국과 캐나다·중국·스위스·인도네시아·호주 등과 통화스와프를 체결해 안정성 면에서도 원화는 기축통화에 준하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경련은 원화가 IMF SDR 통화바스켓에 편입될 경우 ‘시뇨리지(화폐주조차익)’와 환율 안정을 통한 수출 증대, 국공채 금리 인하에 따른 이자 부담 경감 등에 힘입어 장·단기적인 경제적 효과 112조 8000억 원, 고용 89만 2000명을 창출할 것으로 전망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원화가 기축통화가 되면 다른 나라의 원화 보유 수요가 높아져 원화를 추가 발행하고 유통하면서 상당한 경제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며 “IMF 집행위원회의 편입 심사에 앞서 정부가 먼저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