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정은경 "QR코드, 출입명부 목적은 중단…방역패스는 활용"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성형주기자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성형주기자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14일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 출입 시 현행 QR코드 등 전자출입명부 중단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정 청장은 이날 KBS 1TV 긴급진단 대담에 출연해 "현재 다중이용시설의 접촉자 파악을 위해 출입명부 목적으로 쓰는 QR코드는 중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간 QR코드 등 출입명부는 코로나19 확진자의 접촉자를 추적하는 데 쓰여왔다. 그러나 최근 확진자 급증으로 역학조사가 간소화되면서 출입명부 필요성이 크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정 청장도 이와 관련 "출입명부 작성에 대한 것들은 방역 당국이 하고 있는 역학조사 조치와 연동해 잠정 중단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그는 다만 "방역패스 목적으로 예방접종력을 증명하기 위한 QR코드는 계속 활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며 "이를 분리해서 정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 청장은 '코로나19를 계절성 독감으로 보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했다가 정부와 엇박자 논란이 인 데 대해서는 "정부와 질병청의 의견이 다르지 않다. 표현의 차이였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정부가 얘기한 것은 코로나19가 시간이 지나면 결국은 인플루엔자처럼 풍토병화 될 것이다, 방역 상황을 보면서 체계전환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었다"며 "하지만 시기에 대해 못 박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거리두기 완화와 관련해서는 "단계적으로 완만하게 거리두기 조치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다"면서도 "너무 전면적으로 많은 조치가 한꺼번에 풀릴 경우에는 (확진자) 정점의 규모가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조교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