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1월 취업자 113만5000명↑…22년만 최대

통계청, 2022년 1월 고용동향…"기저효과에 수출 호조 영향"

정부, 녹실회의서 고용동향 점검





지난 1월 취업자가 22년여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극심한 고용 침체를 겪었던 적년의 기저효과와 수출 회복세 등에 따른 것이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취업자는 2659만3000명을 기록했다. 1년 전보다 113만5000명 늘었다. 우리 경제가 국제통화기금(IMF) 위기에서 벗어나던 지난 2000년 3월(121만1000명) 이후 21년 10개 만에 최대 규모로 증가했다. 비교 시점인 지난해 1월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크게 줄어들었던 영향(-98만2000명)으로 분석된다. 취업자 수는 지난해 3월부터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실업자 수는 114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2만7000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4.1%로 전년 동월 대비 1.6%포인트 하락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710만4000명으로 47만6000명 줄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1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지난해 1월 취업자 수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와 수출 호조, 비대면·디지털 전환 등 산업구조 변화로 취업자는 증가하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하며 고용 회복세가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산업별 취업자를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는 전년 대비 25만명 늘었다. 숙박 및 음식점업과 운수 및 창고업도 각 12만8000명, 12만1000명 증가했다. 반면 도매 및 소매업(-5만6000명)과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개인서비스업(-2만1000명), 금융보험업(-1만5000명)에서는 취업자가 줄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모든 층에서 취업자가 증가했다. 60세 이상 취업자가 전년 대비 52만2000명이 늘었으며 20대(27만3000명), 50대(24만5000명), 30대(2만2000명), 40대(2만4000명) 취업자도 모두 늘었다. 특히 인구 감소 영향으로 2020년 3월부터 22개월 연속 감소하던 30대 취업자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정부는 이날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열고 고용시장 상황을 점검했다. 홍 부총리는 “30대는 그간 인구효과에 따라 단순 취업자수가 감소했으나 1월에는 취업자수가 23개월만에 증가 전환하며 전 연령대 취업자 증가했다”면서 “주요 지표의 뚜렷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고용충격이 컸던 주요 피해업종·계층의 회복 격차가 있는 만큼 이를 예의주시하겠다”고 밝혔다.

세종=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