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中, 생산자물가 3개월 연속 하락…글로벌 인플레 부담은 여전

1월 PPI 9.1%↑, 지난해 8월 이후 첫 한자리 수

유가 불안 상존, "중국발 인플레 안심하기 일러"

내수 침체로 CPI 주춤, 예상치 하회·안정세 지속

中, 적극적 경기 부양책 이어갈 가능성 높아

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 동향. 중국 국가통계국.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 동향. 중국 국가통계국.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고 전력난이 안정화되면서 중국의 생산자물가 3개월 연속 내림세가 이어졌다. 상승폭이 줄어들긴 했지만 국제유가 상승세가 이어지는 등 중국발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됐다고 보기에는 시기상조라는 분석이다.



16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 1월 중국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같은 달 대비 9.1% 증가했다. 이는 전달(10.3%)과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9.5%)보다 모두 낮은 것이다. 중국의 월간 PPI 상승률이 한자리 수로 하락한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만이다.

중국의 월간 PPI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13.5%까지 급등했다. 세계 원자재 가격이 치솟고 석탄 수급 불안 등의 영향으로 전력난까지 가중되면서 1996년 이후 2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11월(12.9%), 12월(10.3%)를 기록했고 올해 들어서도 하락세가 이어졌다. 물가 불안의 요인이었던 원자재 가격 하락, 연료 및 전력 가격 하락 등의 영향이라고 국가통계국은 해석했다.



‘세계의 공장’인 중국의 생산자물가가 치솟자 중국발 인플레이션에 불이 붙었으나 최근 오름폭이 줄어들면서 한 고비 넘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안심하기는 아직 이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크라이나 사태가 지속되면서 국제유가가 2014년 이후 최고치까지 오른 상태다.

관련기사



소비자물가도 하락세가 이어졌다. 지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0.9% 상승했다. 전월(1.5%)과 시장 전망치(1.0%)를 모두 밑돌았다. 지난해 9월 0.7%를 기록한 이후 4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경기 위축으로 소비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 중국은 내수 침체를 막기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두 달 연속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인하하는 등 경기 부양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돈줄 죄기에 나선 것과는 정반대로 나 홀로 돈 풀기를 이어가는 상황이지만 늘어난 유동성에 따른 물가 불안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

불안 요소가 잦아들면서 올해 5%대 경제성장률 사수를 위한 중국의 경기 부양책도 적극적으로 나타날 전망이다.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이달 중기유동성창구(MLF) 금리를 추가 인하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 월간 소비자물가지수(CPI) 동향. 중국 국가통계국.중국 월간 소비자물가지수(CPI) 동향. 중국 국가통계국.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