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대학 30곳 반도체 과정 신설…매년 인재 1200명씩 키운다

■ 반도체 투자 활성화 간담회

석·박사급도 年 350명 추가 육성





정부가 전국 30개 대학에 1200명 규모의 반도체 전문 교육과정을 신설한다. 또 반도체 투자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들을 적극적으로 풀기 위해 관계 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함께하는 ‘반도체투자지원기구’를 상설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참석한 가운데 ‘반도체 투자 활성화 간담회’를 개최해 이같이 밝혔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이 자리에서 “반도체 기업은 글로벌 공급망 전쟁 시대의 가장 중요한 경제 안보 자산”이라고 말했다.



전문 교육과정은 학부 3학년을 대상으로 2년간 진행하며 졸업 후 추가 교육 없이 실무 투입이 가능하도록 교육을 받는다. 학교당 40명씩 30개 대학을 대상으로 올 하반기부터 시행하며 산업부는 이에 앞서 설계 분야 15개 대학, 소재·부품·장비 분야 15개 대학을 선정할 예정이다. 교육과정은 총 20학점 규모다. 산업부 관계자는 “2년간 7~8개 과목을 수료해 실무에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정부는 또 내년부터 연간 350명씩 석·박사급 반도체 전문 인력을 추가 육성한다. 인공지능(AI)반도체·전력반도체·첨단소부장·패키징 등 주요 분야별로 전문화된 ‘반도체대학원’을 지정하고 10년 이상 집중 지원하는 방식이다.

반도체투자지원기구도 상설화된다. 투자지원기구에는 지자체와 관계 부처가 참여해 인허가부터 공장 착공, 생산까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지원할 예정이다. 분쟁이 빈발한 반도체 업계의 특성을 반영해 컨설턴트와 변호사도 참여한다. 투자지원기구에서 논의한 안건은 국무총리 직할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도 상정된다.

반도체협회는 이날 간담회에서 업계 150여 개 회원사의 투자 계획 조사를 바탕으로 올해 56조 7000억 원을 국내에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투자 실적인 51조 6000억 원보다 10% 늘어난 규모다. 문 장관은 “주요국의 연쇄적 공급 차질, 일본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 등 반도체 산업의 난관을 민관이 합심해 헤쳐왔듯이 반도체 산업의 초격차 유지와 공급망 강화를 위해 앞으로도 정부·산업계가 손잡고 함께 총력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