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기자의 눈] '레버리지 투자'의 함정

박시진 기자 증권부





글로벌 긴축과 전쟁 리스크 등에 증시가 크게 휘둘리면서 단기간에 큰 수익을 노리는 레버리지나 인버스 상품에 대한 투자가 큰 관심을 끌고 있다. 한 달 새 1조 원이 넘는 자금이 몰렸는가 하면 코스피와 코스닥 대표 지수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에는 하루에도 수천억 원씩이 거래되기도 한다. 해외에서 상장된 2배, 3배 레버리지 ETF에는 꾸준히 자금이 유입돼 서학 개미가 가장 사랑하는 종목으로 거론된다.



이 때문에 지난해 국내 시장에는 ‘TIGER코스닥150레버리지ETF’ ‘TIGERKRX2차전지K-뉴딜레버리지ETF’가 등장했고, 영국에서는 지수를 5배까지 추종하는 5QQQ, 5SPY가 시장에 나왔다. 국내 자산운용사들은 한국거래소에 3배를 추종하는 상품을 허용해 달라는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내고 있다.

관련기사



투자자들이 레버리지나 인버스 투자를 즐기는 것은 단기적으로 큰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단순히 레버리지나 인버스 2X 상품으로 지수가 상승할 때 두 배의 수익률을 거둘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상품을 사들이는 것이다. 하지만 투자자들이 간과하는 사실은 레버리지나 인버스 상품들은 ‘일간 수익률’의 배수를 추종한다는 점이다. 투자 기간 기초지수의 수익률 2배가 아닌 매일 변동하는 기초지수 수익률의 2배를 추종한다.

이 때문에 기초지수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할수록 수익률 차가 계속해서 벌어지게 된다. 요즘과 같이 등락을 거듭하는 변동성이 큰 장세일수록 손실이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손실이 쌓이고 쌓이다 보면 원금 회복에 필요한 수익률을 증가하는 침식 효과가 나타나는 ‘음의 복리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처럼 위험이 큰 상품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를 강화하고 진입 장벽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금융 당국은 레버리지와 인버스 상품에 투자하기 위해서 ‘레버리지 ETF·ETN에 대한 기본 예탁금 및 투자자 사전교육 의무화’에 따라 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교육원을 통한 온라인 교육을 수료해야 한다는 규정을 만들었다. 하지만 이는 교육을 이수하기만 하면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허울뿐인 제도라는 지적이 있다. 투자가 투기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자격 조건을 강화하는 등 정책적인 뒷받침이 필요해 보인다.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