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학생 4명 중 1명은 '통일 필요없다'…3년 연속 증가

교육부·통일부, 전국 초중고생 7만여명 대상 조사

북한은 '경계대상' 27%…전년보다 소폭 상승

‘통일이 필요하다·없다’고 생각하는 초중고 학생 응답 비율.자료=교육부‘통일이 필요하다·없다’고 생각하는 초중고 학생 응답 비율.자료=교육부






전국 초·중·고 학생 4명 중 1명은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북한을 ‘경계대상’이라고 답한 학생 비율도 전년보다 상승했다.

교육부와 통일부는 지난해 11월 1일부터 12월 10일까지 전국 초·중·고 734개교 학생 총 7만2,52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통일이 필요하다’고 답한 학생은 61.2%였고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학생은 25.0%였다.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인식은 2019년 19.4%에서 2020년 24.2%, 지난해 25.0%로 3년 연속 증가했다.

관련기사



통일이 필요한 이유로는 가장 많은 27.2%의 학생이 ‘전쟁위협 해소’를 꼽았고 ‘같은 민족이므로’(25.5%), ‘이산가족 아픔 해결’(20.9%)이 그 뒤를 이었다.

통일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29.8%의 학생이 ‘통일에 따르는 경제적 부담 때문에’라고 답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그다음은 ‘통일 이후 생겨날 사회적 문제 때문에’(25.0%), ‘남북 간 정치제도의 차이 때문에’(17.0%)의 순이었다.

북한을 ‘협력 대상’이라고 답한 학생은 52.6%로 전년(54.7%)보다 소폭 하락했다. 반면 ‘경계대상’이라고 답한 학생은 27.1%로 전년(24.2%)보다 상승했다.

남북관계가 평화로운지에 대해서는 ‘보통이다’라고 답한 학생이 48.8%로 가장 많았고 ‘평화롭지 않다’가 30.2%, ‘평화롭다’가 21.1%로 나타났다. 전년보다 ‘평화롭다’는 인식은 17.6%에서 21.1%로 상승했고 ‘평화롭지 않다’는 인식은 35.2%에서 30.2%로 하락했다.

학교에서 통일교육을 받은 학생 비율은 78.5%로 조사됐다. 통일교육으로 배운 내용(복수응답)은 ‘남북 간 평화의 중요성’(52.4%), ‘북한 사람들의 생활과 사회의 모습’(46.9%), ‘통일이 가져올 이익’(46.5%) 등이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