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미아·방학역 역세권 용도지역 상향…도심 주택 공급 확대

미아역 역세권 활성화사업 투시도 / 서울시미아역 역세권 활성화사업 투시도 / 서울시




강북구 미아역과 도봉구 방학역 역세권 일대가 고밀 개발되며 이 생활SOC와 주택이 공급된다.

18일 서울시는 지난 17일 제2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수권소위를 열고 강북구 미아동 195번지 일대 ‘미아역 역세권 활성화사업’에 대한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안과 ‘도봉구 도봉동 622-8번지 외 1필지 역세권 활성화사업 지구단위계획구역 계획안’을 을 수정가결했다고 밝혔다. 역세권 활성화사업은 입지요건을 만족하는 역세권 토지의 용도지역을 상향해 용적률을 높여주는 대신 증가한 용적률의 절반을 어린이집·보건소 등 생활서비스시설과 오피스·주택 등 공공임대시설로 확충하는 사업이다. 민간사업자는 사업성을 높일 수 있고, 공공은 지역에 필요한 시설을 지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서울시는 현재 20개 지역을 대상으로 도심의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역세권 활성화사업을 추진 중이다. 미아역은 지난 2020년 선정된 1단계 확대사업 대상지 8곳 중 한 곳이고, 방학역 일대는 2019년 선정된 시범사업 대상지 5곳 중 하나다.

관련기사



이번에 수권소위 문턱을 넘은 계획안에 따르면 미아역 역세권의 용도지역은 제3종일반주거지역에서 근린상업지역으로 변경된다. 용도지역 상향에 따른 공공기여시설로는 거점형 키움센터(약 2516㎡)와 청소년 문화수련시설(약 790㎡)이 들어선다. 또 시는 이번 계획을 통해 양질의 도심형 주택 260가구를 공급해 역세권 활성화를 유도하고 지역균형 발전을 실현할 방침이다. 여기에는 공공임대주택 36가구도 포함됐다.

도봉동 622-8외 1필지 조감도 / 서울시도봉동 622-8외 1필지 조감도 / 서울시


방학역 일대 역세권활성화 사업은 이용률이 저조한 택시차고지 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내용이다. 서울시는 도봉동 622-8외 1필지의 용도지역을 2종일반주거지역에서 근린상업지역으로 상향했다. 이에 따라 공공임대주택(35가구)와 보건지소(973.4㎡)를 공공기여시설로 확보해 이 일대 부족한 생활SOC를 확충했다.

이번 지구단위계획안이 결정됨에 따라 시는 향후 건축위원회 심의 등 인허가 절차를 거쳐 올 하반기 건축허가, 그리고 2024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