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결국 소주 값도 오른다…국내 1위 참이슬 7.9% 인상

서울의 한 대형마트 주류코너의 모습. /연합뉴스서울의 한 대형마트 주류코너의 모습. /연합뉴스




서민의 술 '소주' 가격 마저 올랐다. 소주 업계 1위인 하이트진로(000080)가 3년 만에 출고가 인상을 결정하면서 조만간 2~3위 업체들도 잇달아 가격 인상 행렬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출고가 인상으로 현재 대형마트 기준 한 병 당 1,200~1,800원 선인 소주 판매가도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식당에서는 한 병 당 5,000원을 넘어 6,000원짜리 소주까지 등장할 가능성이 커졌다. 연초부터 서민 먹거리 가격이 줄줄이 오르면서 체감 물가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18일 하이트진로는 오는 23일부터 참이슬과 진로 제품 출고가격을 7.9% 인상한다고 밝혔다. 360㎖ 병과 일부 페트류가 인상 대상이다. 일품진로는 이번 인상에서 제외됐다.

관련기사



하이트진로의 소주 값 인상은 지난 2019년 4월 이후 약 3년 만이다. 당시 공장 출고가격 기준 소주 한 병 가격을 1,015.7원에서 1,081.2원으로 6.45%(65.5원) 인상했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최근 원부자재 가격, 물류비 등 전방위적으로 원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지난 3년 간 14% 이상의 가격 상승 요인이 발생했다”며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소비자들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인상률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소주 가격 인상은 예상된 일이었다. 최근 소주의 핵심 원료인 주정 가격이 10년 만에 인상된 데다 병뚜껑, 소주병 취급 수수료, 물류비, 인건비 등 제반 비용이 대부분 올랐기 때문이다. 국내 소주업체들에 주정을 판매하는 대한주정판매는 최근 주정 가격을 평균 7.8% 인상했다. 병뚜껑 업체들도 소주 병뚜껑 가격을 평균 16% 인상했으며, 환경부는 빈용기 취급 수수료를 400ml 미만 술의 경우 30원에서 32원으로, 400ml 이상 제품은 34원에서 36원으로 인상했다.

여기에 코로나19로 인한 타격도 지속되고 있다. 하이트진로의 지난해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7% 감소한 5,574억 원, 영업이익은 30.3% 줄어든 449억 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무학은 13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했다.

식품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미 수입맥주와 양주의 가격은 일부 올랐다"며 "소주와 함께 대표적인 서민 술로 꼽히는 국산 맥주 가격의 인상도 시간 문제"라고 전했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