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대한항공 파리行 정기편에 ‘친환경 항공연료’ 첫 도입

식물성 기름 등으로 만든 정기편 노성에 투입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 배출 최대 80% 감축

파리~인천 노선에 투입 예정인 대한항공의 보잉 777-300ER 항공기. 사진 제공=대한항공파리~인천 노선에 투입 예정인 대한항공의 보잉 777-300ER 항공기. 사진 제공=대한항공





대한항공(003490)이 파리~인천 구간의 국제선 정기편 노선에 국내 최초로 지속가능항공연료(SAF)를 도입한다고 18일 밝혔다. SAF는 석유·석탄 등 기존의 화석 자원이 아닌 동물성·식물성 기름, 해조류 등 친환경 원료로 만든 항공유다. 화석 자원을 기반으로 한 기존 항공유보다 2~5배가량 비싸다. 다만 원료 수급부터 소비까지 전 단계에서 탄소 배출량을 기존 항공유 대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다.

관련기사



대한항공은 지난 2017년 11월 미국 시카고~인천 구간에 SAF를 사용해 한 차례 운항한 바 있다. 정기편 노선에 SAF를 도입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SAF의 사용량은 생산 시설과 공급망 부족으로 전 세계 항공유의 0.1% 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최근 프랑스 정부가 자국 내 항공유 공급업체를 상대로 최소 1%의 SAF를 혼합해 공급하도록 법제화하는 등 SAF 생산과 공급을 위한 움직임이 확대되는 추세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현대오일뱅크와 바이오항공유 사용 기반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협력하고 있다. 올 2월 인천국제공항공사·에어버스·에어리퀴드와 ‘항공업계와 공항의 수소 공급 및 인프라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탄소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지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