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소상공인 자생력 높이는 부산…자체 통계로 원스톱 맞춤 지원

경영역량 강화 종합센터 7월 개원

비대면 시대 온라인 진출도 활성화

박형준 부산시장이 지난해 12월21일 디지털커머스 전용 스튜디오가 구축된 KT범일타워에서 소상공인·자영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부산시박형준 부산시장이 지난해 12월21일 디지털커머스 전용 스튜디오가 구축된 KT범일타워에서 소상공인·자영업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 제공=부산시




부산시가 코로나19 확산과 경영환경 변화로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이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대대적인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20일 부산시에 따르면 시는 소상공인이 처한 어려움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분기별 소상공인 통계를 자체적으로 수집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국세청과 보험사 등의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구축한 통계청의 기업통계등록부에 부산시가 수집한 자료를 연계해 융합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기존 통계가 시·구·군 단위의 대분류 사업체를 담고 있는 반면 부산시 소상공인 통계는 읍·면·동 단위로 사업체 수를 세분화해 평균 영업기간과 생존율 등 생존지표부터 면적당 매출, 지원여부별 매출, 대표자 특성, 업력, 유동인구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시는 이 통계를 토대로 소상공인 경영현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자금지원, 컨설팅 등 소상공인 정책을 평가·분석해 적재적소에 필요한 정책을 발굴하는 데 사용할 계획이다.



시는 오는 6월까지 지역화폐 ‘동백전’과 제로페이 이용 현황을 비롯한 카드사 매출 정보, 인허가, 부동산 거래 등 15종 행정자료를 수집한 후 시험 생산을 거친 뒤 올해 1분기 잠정통계를 9월경에 공표할 예정이다. 특히 지난해 구축한 상권 영역 공간 및 상권점포 이력 데이터 자료와 연계해 맞춤형 상권분석으로 정책 연계의 효율성을 확보하고 정책 지원 효과 등도 지속적으로 들여다볼 방침이다.

관련기사





소상공인 정책 지원 효과를 극대화할 맞춤형 종합 플랫폼인 소상공인 종합지원센터도 오는 7월 문을 연다. 중구 자갈치시장 현대화건물 7층에 사무실과 콜센터, 법률컨설팅상담센터, 교육장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소상공인 종합지원센터는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경영역량을 강화해 생존율과 성장률을 끌어올리는 원스톱 지원에 나선다. 조직도 이에 맞춰 교육컨설팅팀과 마케팅지원팀, 골목상권전통시장팀 3개팀 15명으로 꾸려진다.

소상공인의 온라인 자생력을 키울 온라인 비즈니스 전담 기관도 활성화한다. 지난해 10월 범일동 KT범일타워 내 구축한 디지털커머스 전용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디지털 콘텐츠 촬영·편집 제작, 지역 특화 프로그램, 광고 제작·송출, 라이브커머스 등을 운영한다. 부산경제진흥원이 주관하며 KT와 롯데가 함께 사업을 돕는다. 비대면 가속화 등 전자상거래시장 활성화에 대응하기 위한 곳인 만큼 온라인상거래를 원하는 소상공인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본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부산 지역 소상공인은 41만 3000개로 총 사업체 수의 93.6%에 종사자 수는 60만명에 이르는 지역경제의 뿌리다. 매출액은 45조 8000억 원으로 부산 전체 매출액 227조 8000억 원의 20.1%를 차지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현재 통계청과 중소벤처기업부가 2019년 통계자료를 활용해 소상공인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는 소상공인 경영현황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며 ““부산형 소상공인 통계를 차질없이 개발하고 소상공인종합지원센터도 실효성 있게 운영해 정책에서 소외받는 소상공인이 없도록 모든 역량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