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17兆 추경 통과 시키는 날… 무디스가 한국에 찾아왔다

무디스, 국가신용등급 평가 논의 시작

추경에 적자국채 발행 규모 커지면서

신용평가등급 등에 미치는 영향 우려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추경안을 다루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열리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지난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추경안을 다루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가 열리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와의 연례협의가 시작한 가운데 여당이 17조 5000억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밀어붙일 전망이다. 급격히 늘어난 국가부채에 한국의 신용평가등급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21일부터 무디스와 2022년 연례협의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협의는 오는 28일까지 진행되며 협의단에는 진 팡 아태지역 국가신용등급 부대표를 비롯해 크리스티앙 드 구즈만 수석이사, 아누슈카 샤 한국 담당이사 등이 참석한다.

관련기사



무디스 협의단은 이날 기획재정부와 최근 경제·재정동향 및 전망, 주요 정책 추진성과 및 계획 등을 논의하고 이후 국회예산정책처, 금융위원회, 통일부 및 한국은행 협의를 통해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 평가와 관련된 경제 동향 및 전망, 통화정책, 남북관계 등 주요 정책 대응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편 여당은 같은 날 열리는 국회 본회의를 열고 17조 5000억 원의 규모의 추경 수정안을 통과시킬 방침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19일 14조 원 규모의 추경을 단독 처리한 바 있다. 추경 규모가 증액되면서 재원 마련을 위한 적자국채 발행 규모 또한 커질 전망이다. 이에 따른 국가채무 급증 문제와 국채 금리 시장 혼란, 인플레이션 확대, 국가 신인도 악화가 신용등급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앞서 홍 부총리 또한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추경이 국가신용등급 평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한 바 있다. 그는 “곧 있으면 무디스·피치와 같은 신평사와 상반기 협의를 해야 하는데 그것 역시 우려된다”면서 “이쪽 (국채) 시장이 흔들린다거나 금리가 오른다거나 했을 때, 신용평가등급이 떨어진다 했을 때 미치는 영향도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다”고 했다.


세종=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