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쇼핑정보 더해…중저신용자 대출 문 넓힌 케뱅

통신정보 등 포함 새 CSS 적용

중저신용자 대출승인율 18%↑

금융이력 부족 고객은 31% 껑충





케이뱅크가 중저신용(KCB 820점 이하) 및 신파일러(금융 이력 부족자) 고객의 대출 기회 확대와 금융 혜택 강화를 위해 새로운 신용평가모형(CSS)을 대출 상품에 적용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에 변경된 CSS의 특징은 통신과 쇼핑 정보를 관련법에 따라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가명 처리해 금융 정보와 결합했다는 점이다. 통신은 스마트폰 요금제, 할부금, 요금 납부 이력 등 서비스 이용 관련 데이터를 대안 정보로 활용했다. 쇼핑은 백화점·마트 등에서 패션, 여가 활동, 외식, 생활용품 등에 대한 구매 및 이용 패턴을 추가했다.

관련기사



케이뱅크는 새로운 CSS가 중저신용자와 신파일러 고객의 대출 상품 이용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전망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중저신용 고객군 대출 승인율이 기존 대비 약 18.3%, 신파일러 고객군은 약 31.5%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안 정보 활용은 대출 상품의 금융 혜택 개선에도 기여했다. 통신 서비스와 쇼핑 데이터를 적용한 CSS로 신용평가를 받아 대출 한도나 금리가 개선된 고객이 10% 이상 늘었다고 케이뱅크 측은 밝혔다.

윤형로 케이뱅크 리스크관리실장은 “향후 통신 데이터의 사용량 변화 분석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대안 정보를 발굴해 신용평가에 접목시키겠다”며 “보다 고도화된 CSS를 통해 대출 상품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리스크 관리에도 역량 집중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