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정상등교' 교육부, '개학 2주 전면 원격 가능'으로 후퇴

3.2~11일 '새학기 적응주간'으로 운영

'3·15%룰'상관없이 탄력적 학사 가능

서울 관내 유치원 및 학교 관계자가 21일 서울 종로구 중부교육지원청에서 비치된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를 수령해 가고 있다. 연합뉴스서울 관내 유치원 및 학교 관계자가 21일 서울 종로구 중부교육지원청에서 비치된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를 수령해 가고 있다. 연합뉴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3월 중 정점을 찍을 것이란 방역당국의 예측에 따라 3월 개학 이후 첫 2주간은 학교가 지역사회 감염 상황을 고려해 전면 원격수업을 할 수 있다. 교육부는 앞서 신규 확진자가 재학생의 3%가 되지 않거나, 확진·자가격리로 등교가 중지된 학생이 15%가 되지 않는 학교에 전면 등교를 권고한 바 있다. 하지만 새학기를 앞두고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면서 개학 후 첫 2주간은 ‘3·15%룰’ 상관없이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학사 운영이 가능하도록 했다.

교육부는 '새 학기 오미크론 대응 비상 점검·지원단'을 구성하고 21일 유은혜 부총리 겸 주재로 교육부 대책반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우선 3월 개학 이후 첫 2주간(3.2.~3.11.)을 ‘새 학기 적응주간’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이 기간 수도권 등 오미크론 확진자가 집중돼 감염이 우려되는 지역의 학교들은 수업시간 단축, 과밀학교(급)의 밀집도 조정 및 원격수업 등 탄력적으로 학사를 운영할 수 있다.

관련기사



앞서 교육부는 지난 7일 ‘오미크론 대응 2022년 새학기 학사 방안’을 발표하면서 ‘3·15%’룰을 제시했는데 개학 후 2주간은 이 기준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지역 감염 상황을 고려해 학교장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전면 원격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감염병 전문가들에 따르면 3월 초에 확진자가 많을 것으로 예측된다”며 “지표(3%, 15%)를 폐지하는 것은 아니고 급변하는 상황에 맞춰 대응을 빨리하도록 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 기간 급식 시 배식 및 식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식단(간편식 등)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시도교육청과 긴밀히 협의하기로 했다.

이 밖에 교육부는 학생·교직원들이 달라진 오미크론 방역체계 및 학사에 적응하도록 지원한다. 새학기부터는 학교 방역 중심 체계로 전환되며 교육부는 학교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전국 유·초·중·고 학생 및 교직원에게 신속항원검사도구(키트)를 무료로 배포한다. 학생들은 등교 하루전 매주 2회 가정에서 신속항원검사 키트로 선제검사를 하고 자가진단 앱에 결과를 입력해야 한다.

교육부는 이달 28일부터 자가진단앱을 사용해 학교별로 학생의 감염상황을 사전에 파악하고, 3월 2일에는 신속항원검사도구(키트)를 배부해 사용법을 교육한 후 조기하교 하도록 적극 안내 하기로 했다. 개학 첫 주에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활용한 달라진 방역지침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집중 실시한다.

유 부총리는 “다가오는 새 학기 오미크론 대응의 핵심은 두 가지로 이는 다중검사체계와 학교중심의 탄력적인 학사운영”이라며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학교에 새로 시작되는 다중검사체계와 학사운영 지원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