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강경 투쟁 무기로 압박하는 택배노조에…비노조원 "대화가 아니라 협박"

택배노조 두달 가까이 파업

노조 "대화 불응땐 전 택배사 파업"

'CJ 3층 점거' 풀며 로비 농성 계속

피해 규모 커지고 고객불편 장기화

CJ, 당국에 방역 위반 지도 요청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원들이 21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사회적 합의 이행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지난해 12월 28일부터 파업 중인 택배노조는 이달 10일부터 CJ대한통운 본사를 불법 점 채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건율 기자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원들이 21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사회적 합의 이행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지난해 12월 28일부터 파업 중인 택배노조는 이달 10일부터 CJ대한통운 본사를 불법 점 채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건율 기자




지난해 12월 28일부터 56일째 파업 중인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원들이 21일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택배노조는 사회적 합의 이행을 요구하며 CJ대한통운이 대화에 응하지 않을 경우 단식 투쟁과 전체 택배사 연대 파업을 이어가겠다고 선언했다. 택배노조는 서울 중구 CJ대한통운 본사 점거 12일째인 이날 코로나19 방역 조치 위반 등으로 논란이 된 본사 3층 점거는 해제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1층 로비 점거는 계속하겠다는 방침이다. CJ대한통운 측은 “노조원들의 방역 수칙 위반 행태가 매일 확인되고 있다”며 보건 당국에 행정지도를 요청했다.

택배노조의 파업과 불법 점거로 CJ대한통운의 피해 규모가 계속 불어나고 고객들의 불편도 커질 전망이다. 택배노조의 강경 대응에 비노조 택배원들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택배노조가 외치는 것은 대화가 아니라 협박”이라고 비판했다.



진경호 택배노조 위원장은 이날 서울 종로구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2 전국 택배 노동자대회’에서 CJ대한통운 측에 과로사 방지를 위한 사회적 합의 이행과 대화 수용을 요구하는 한편 국토교통부 등 정부와 여당에도 중재를 촉구했다. 앞서 택배노조는 지난 10일 CJ대한통운 본사를 기습 점거하며 합의 이행과 대화 시한을 21일로 못 박으며 이때까지 사 측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을 경우 전 택배사가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진 위원장은 이날부터 물과 소금까지 먹지 않는 ‘아사 단식’ 투쟁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택배노조는 전 택배사 파업 기조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당장 전체 택배노조가 파업에 동참하진 않지만 쟁의권이 있는 조합원이 2200명에 이르러 피해가 더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윤중현 택배노조 우체국본부장은 “현재로서는 택배노조 파업에 동참할 계획은 없다”면서 “(다만) CJ대한통운의 ‘택배노조 죽이기’가 계속된다면 향후 파업 동참 등 여러 가능성을 열어 놓고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원들이 21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사회적 합의 이행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지난해 12월 28일부터 파업 중인 택배노조는 이달 10일부터 CJ대한통운 본사를 불법 점 채 농성을 벌이고 있다. 강동헌 기자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원들이 21일 서울 청계광장에서 사회적 합의 이행을 촉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지난해 12월 28일부터 파업 중인 택배노조는 이달 10일부터 CJ대한통운 본사를 불법 점 채 농성을 벌이고 있다. 강동헌 기자


이날 집회는 주최 측 추산 약 2000명이 참가하면서 방역 수칙을 교묘하게 빗겨간 ‘꼼수 집회’가 아니냐는 비판도 제기됐다. 방역 지침에 따르면 집회 인원은 백신 접종을 완료한 299명으로 제한된다. 하지만 대선 선거운동에는 인원 제한이 없다. 이날 집회에는 김재연 진보당 대선 후보의 선거 유세 차량이 동원됐다.

한편 택배노조의 강경 투쟁 기조에 비노조 택배원들도 CJ대한통운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김슬기 전국비노조택배기사연합 대표는 “노조가 집시법과 방역법을 무시하는 등 불법을 저지르고 있다”며 “택배노조가 외치는 것은 대화가 아니라 협박”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남의 집이나 회사에 쳐들어가서 부수고 때리고 겁을 주는 것은 테러”라며 “집으로 돌아가 달라. 더는 이 무의미한 행동을 이어갈 이유가 없다”고 촉구했다.


강동헌 기자·이건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