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李 “국가가 100% 손실 보상” 尹 “코로나 빈곤층 보호가 우선”

李 "국가가 전적 책임" 尹 "피해 본 분 보상"

尹 "소급적용 빼고 법 처리하더니 말 바꿔"

李 "신천지 왜 압수수색 안 했나" 쏘아붙여

安 "특별회계" 沈 "남품단가 물가연동제"주장

李·尹 모두 대선 이후 대규모 지원엔 공감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1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 미디어센터 공개홀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 초청 1차 토론회에서 토론을 준비하고 있다./성형주 기자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1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 미디어센터 공개홀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 초청 1차 토론회에서 토론을 준비하고 있다./성형주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가 코로나19 피해 원인과 회복 방안을 두고 충돌했다. 이 후보는 “국가가 손실을 100% 보상하자”고 했고 윤 후보는 “빈곤층 보호가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윤 후보는 또 “민주당이 소급 적용을 뺀 손실보상법을 통과시켰다”고 쏘아붙였고 이에 이 후보는 “방역에 가장 비협조적인 사람이 비판한다”며 받아쳤다. 두 사람은 이날 방역 정책의 성과부터 회복 방안까지 사사건건 부딪히며 사회자가 수차례 중재에 나서기도 했다.



이날 마포구 MBC미디어센터 공개홀에서 열린 선관위 주관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 초청 1차 토론회에서 이 후보와 윤 후보는 코로나19 회복 지원과 관련해 상반된 입장을 밝혔다. 이 후보는 “국가가 개인에게 떠넘긴 이 책임을 이제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 저는 소상공인 등의 손실을 전부 보상하겠다”며 “추경과 긴급재정명령권을 행사해서라도 반드시 책임지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윤 후보는 “ 코로나로 인해 빈곤층이 많이 발생했다. 국가의 첫 번째 의무는 이 빈곤층을 보호하는 것”이라며 “지금 빈곤층을 제대로 보호하지 않으면 나중에 엄청난 복지 재정이 들어가게 된다. 소상공인들은 방역으로 피해를 본 분들이기 때문에 손실보상 개념으로 확실하고 신속하게 피해 보상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두 후보는 코로나19 재건 방향을 내놓자마자 서로를 향해 포문을 열었다. 윤 후보는 “이 후보가 이번 선거 이후에 코로나19 대응이 확 바뀐다고 선언했다”며 “마치 지금 정부가 국민의힘 정부라도 되는 것처럼 말한다”고 공격했다. 이어 “여당 대선 후보로서 집권당의 방역 정책 실패를 인정했는데 결국 민주당이 대선에서 책임져야 된다는 뜻 아니냐”며 “야당 코스프레”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 후보도 지지 않았다. 그는 “문재인 정부가 방역에 상당한 성과를 낸 것은 부인하기 어렵다”며 “사망률과 감염률이 제일 낮고 경제 회복률이 가장 높은데 이런 점을 폄훼하면 안 된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윤 후보는 마스크도 잘 안 쓰고 부인도 안 쓰고 규칙도 안 지킨다”고 꼬집었다. 또 최근 무속 논란과 이른바 종교 집단인 ‘신천지’ 개입설을 들어 이 후보는 “(검찰총장 재직 당시) 신천지 압수수색도 안 했다. 가장 방역에 비협조적인 분이 방역 성과를 폄훼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비판했다.

윤 후보는 코로나19 피해가 집중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재기를 위한 재정 지원 정책을 두고도 부딪혔다. 윤 후보는 “170석 여당이 법안을 날치기 통과시킬 때는 방관하다가 여당 후보로서도 집권 정부의 방역 정책 실패를 인정했다”며 “결국 그렇다면 민주당이 대선에서 책임져야 한다는 것 아닌가”라고 쏘아붙였다. 이어 “(50조 원 재건기금을 주장하는) 저보고 포퓰리즘이라더니 해가 바뀌고 선거가 다가오니 손실보상 소급까지 한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즉시 반발했다. 윤 후보가 자신을 몰아붙인 뒤 발언권을 심상정 정의당 후보에게 넘기면서다. 이 후보는 “발언자를 당사자가 지정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끼어들었고 윤 후보는 “얘기해봐야 (이 후보는) 본인 얘기만 할 게 뻔해서”라고 다시 말을 끊으며 충돌했다. 이 후보는 “윤 후보님 그게 토론이다”라며 “내가 얘기하고 상대방이 반박하는 게 토론이죠”라고 맞받았다. 이에 윤 후보는 “걱정하지 마십시오”라며 거듭 심 후보에게 발언 기회를 주려고 했다. 이 후보는 사회자 중재로 심 후보가 말을 시작하기 전 윤 후보를 향해 “기본적인 규칙은 지키면 좋겠다”고 꼬집었다.

두 후보는 이날 주제인 경제분야와 동떨어진 주제를 예로 들면서까지 언성을 높였다. 이 후보는 과거 “우리나라에 구조적인 성평등은 없다, 개인의 문제”라고 말한 윤 후보를 질타했다. 그는 “현실이고 엄청난 차별받고 있는 게 사실이다”라며 “무책임한 것 아니냐. 잘못 말 한것 아니냐”고 따졌다, 윤 후보는 이에 “이 질문에 많이 말씀 드렸기 때문에 답변할 필요 없다”고 답했다. 그러자 이 후보는 “ 근거 없이 음해하는 습관이 있는데 검사 출신이니까 합리적인 근거를 갖고 말해달라”며 “여성의 구조적 성차별 없다는 발언에 왜 대답을 안 하느냐”고 재차 답을 촉구했다,

안 후보와 심 후보도 존재감을 드러냈다. 안 후보는 “코로나19 특별회계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땜질식 추경’은 해법이 될 수 없다”며 여야 1, 2당을 동시 저격했다. 심 후보도 “손실보상 등 단발성 지원에 그칠 게 아니라 중장기적 경기회복 방안이 필요하다”며 ‘납품단가 물가연동제’ 법제화를 제안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