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국가위기에 또 나선 삼성전자…자가진단키트 업체 지원

‘국내 품귀 해소’ 전문가 19명 급파

4월말 생산량 주 300만→600만개

마스크·PCR검사·백신 고비때마다 등장

이재용 “사회와 나누고 함께 해야”

젠바디 조립 라인/사진=삼성전자 제공젠바디 조립 라인/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또다시 코로나19 해결사로 나섰다. 이번에는 품귀를 빚고 있는 자가진단키트다.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 전문가들로 구성된 삼성전자 ‘스마트공장’ 지원팀은 자가진단키트 제조사 젠바디의 생산량을 오는 4월 말까지 두 배로 끌어올려 공급난 해소에 기여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스마트공장 구축 전문가 19명을 충남 천안시 젠바디에 급파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들은 젠바디의 생산부터 포장·배송에 이르는 모든 과정을 면밀히 분석해 개선 작업에 나선다. 설비당 작업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30% 높이고 재고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며 협력 회사의 금형·사출·인쇄 기술도 지원한다. 현재 건설 중인 신공장도 빠르게 안정화시킨다. 4월 말 신공장이 가동되면 젠바디의 자가진단키트 생산량은 주당 300만 개에서 600만 개로 두 배 증가해 국내의 공급 부족 현상이 완화될 것으로 삼성전자는 내다봤다. 다른 자가진단키트 업체 수젠텍에도 삼성전자의 제조 전문가가 나서 스마트공장을 구축한다.

관련기사



삼성전자는 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으로 방역 물품이 부족할 때마다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을 통해 생산성을 끌어올렸다. 지난 2020년 2월 마스크 대란 당시 E&W·에버그린·레스텍·화진산업 등 제조 업체 4곳에 전문가 50명을 긴급 투입해 두 달 만에 4개사의 생산능력을 51% 높였다. 같은 해 5월 해외 수요가 폭증한 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 진단키트 제조 업체 솔젠트와 코젠바이오텍을 도와 주당 진단키트 생산량을 70% 이상 늘렸다. 2020년 말에는 백신 주사 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소잔여형(LDS) 주사기 생산 기업 풍림파마텍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도왔는데 이 주사기는 화이자의 국내 백신 조기 공급 결정을 이끄는 단초가 됐다.

위기 때마다 구원투수로 나선 삼성전자 활약의 배경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의지도 한몫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부회장은 코로나19 확산 초기인 2020년 2월 “국민의 성원으로 성장한 삼성은 지금 같은 때 사회와 같이 나누고 함께해야 한다”며 임직원에게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