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상수도 중대재해 예방 '위험성 평가 기준' 마련

시설·공사별 위험 요인 표준화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중대재해예방을 위해 상수도 분야 '위험성 평가 스마트 표준안'을 마련했다고 25일 밝혔다.



위험성 평가 스마트 표준안'은 취·정수장, 배수지, 맨홀 등 상수도 시설물의 특수성과 상수도 사업 특성을 반영해 각 시설 및 공사별 위험 요인을 표준화한 평가 기준이다. 시설 및 작업 특성을 6개 분야, 77개 공종(작업·처리형태)으로 분류해 총 2329개의 위험 요인을 도출해 표준화했다.

관련기사



상수도사업본부는 표준안을 모든 공사 및 시설물의 유지·관리 현장에 적용한다. 이를 위해 직원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분기별로 1회 이상 담당자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본부는 아울러 상수도관 누수 복구 공사 현장에서 위험성 평가를 즉시 할 수 있도록 '아리수 맞춤형 체크리스트'도 마련했다. 체크리스트는 긴급한 상황에서 주요 사고 요인과 위험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장 분량으로 구성했다.

본부는 현장 경험이 풍부한 퇴직 공무원 10명으로 '시니어-틈새안전지원단'도 조직했다. 이들은 3월부터 직원들과 함께 수돗물 생산·공급·유지관리 현장을 점검하며 위험 요소를 발굴하고, 개선안을 제안하게 된다. 향후 신설될 상수도 현장실습장에서는 실습 강사로도 활동한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