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단독] 이제서야…'자원개발 인재' 키운다는 정부

2035년까지 장기로드맵 마련 위해

산업부 '미래인력양성 연구 용역'

자원 무기화 거센데 늦장대응 지적





정부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주요국의 ‘자원 무기화’ 경쟁이 본격화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자원 개발 인재 양성에 나선다. 이명박 정부 이후 지난 10년간 해외 자원 개발에 사실상 손 놓고 있다가 원자재 수급난이 심화하자 때늦은 대응을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자원 개발 미래 인력 양성 중장기 추진 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정부는 해당 용역의 연구 목적으로 ‘향후 자원 개발 분야 대학 인력 양성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과 계획 수립’을 명시하며 관련 인재 육성 의지를 나타냈다.

관련기사



정부는 해당 연구를 통해 최근 3년간 관련 분야의 대학생 및 졸업자 취업 현황을 조사하는 한편 올해 자원 개발 및 연관 분야 재직자 현황도 알아볼 예정이다. 또 향후 10년간 대학 졸업생 수 및 자원 개발 관련 산업계 신규 인력 수요를 조사해 시장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로드맵은 오는 2025년까지의 인력 양성안을 담은 기존 ‘자원개발인력양성사업 체계’와 달리 10년 이상의 장기 로드맵을 마련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5~2030년 중기 인력 양성안과 2031~2035년 장기 인력 양성안을 각각 수립할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탄소포집저장(CCS) 외에 블루수소, 자원 순환 분야 등 미래 산업 분야 인재 양성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해 ‘요소수 대란’에 이어 올해 우크라이나 사태를 비롯한 지정학적 리스크까지 불거지자 자원 및 공급망 안정화 방안 마련에 주력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도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에서 “최근 공급망 위험이 확대돼 경제·안보적 관점에서 범정부적 신속 대응이 필요해졌다”며 “산업 분야별 대응을 넘어 공급망 전체를 위한 범정부 관리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신현돈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최근 몇 년 새 자원 관련 인력 규모나 예산이 줄고 있는 추세”라며 “정부의 장기 로드맵 마련 외에 공기업과 민간 기업도 인재 양성 프로그램에 동참해야 보다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세종=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