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금융정책

국내거래 코인 65%는 '나홀로 상장'

■ FIU, 암호화폐 사업자 실태조사

시장규모 55조…단독상장 403종

7개 거래소에선 비중 90% 넘어

특정 거래소에서만 거래 지원

가격 변동성 심해 투자 주의해야

깡통계좌는 37만개…양극화 뚜렷

서울 강남구 암호화폐거래소 빗썸 현황판의 비트코인 시세. 연합뉴스서울 강남구 암호화폐거래소 빗썸 현황판의 비트코인 시세. 연합뉴스






국내 시장에서 거래되는 암호화폐의 3분의 2가량이 ‘나 홀로 상장 코인’으로 드러났다. 나 홀로 상장 코인은 특정 거래소에서만 거래가 지원되는 단독 상장된 코인을 뜻한다. 가격 변동성이 심해 이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이 같은 내용의 암호화폐 사업자 실태 조사 결과를 1일 공개했다. 이번 실태 조사는 지난해 하반기 총 29개 암호화폐 사업자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원화 마켓 사업자와 코인 마켓 사업자 20곳, 지갑 보관 등 기타업자 5곳으로 기타업자는 영업 초기라 실태 조사 결과에서 제외됐다.



이번 조사에서 국내 거래 암호화폐는 총 623종 1257개였다. 이 중 특정 거래소에서만 거래가 지원되는 단독 상장된 암호화폐는 403종이다. 국내에 유통되는 암호화폐의 3분의 2가 단독 상장된 코인인 셈이다. 나 홀로 상장 코인은 원화 마켓 시가총액에서는 12% 정도에 불과하지만 코인 마켓에서는 75%를 차지했다. 7개 거래소에서 나 홀로 상장 코인의 비중이 90%를 넘었다. 국내 유통 전체 암호화폐의 평균 최고점 대비 가격 하락률은 65%로 유가증권시장의 4.4배 수준에 달했다. 특히 단독 상장된 코인의 절반(219종)은 최고점 대비 가격 하락률이 70%를 넘을 정도로 가격 변동성이 컸다. 단독 상장 코인 비중이 높다 보니 시가총액 대비 비트코인·이더리움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글로벌은 59%인 반면 국내 원화 마켓은 27%, 코인 마켓은 9%에 그쳤다.

관련기사



국내 원화 마켓의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55조 2000억 원으로 하루 평균 11조 3000억 원이 거래됐다. 거래의 95%가 원화 마켓 사업자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국내 암호화폐 사업자 이용자 수는 총 1525만 명에 달했고 이 가운데 고객 확인 의무를 완료해 실제 코인 거래에 참여하는 실명 이용자는 558만 명이다. 연령별로 보면 30대가 31%로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 27%, 20대 23% 순이었다. 개인 이용자의 절반가량이 100만 원 이하의 암호화폐를 보유했다. 이용자는 하루 평균 4회 매도·매수에 참여했고 한 번 거래할 때마다 약 75만 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암호화폐의 상장과 상장폐지도 빈번했다. 지난해 하반기 신규로 거래 지원(상장)된 코인은 153건이었고 거래 중단(상장폐지)된 코인은 329건에 달했다.

암호화폐 보유에도 양극화가 뚜렷했다. 거래 가능 이용자의 56%(313만 명)는 거래소 계좌에 100만 원 이하(암호화폐 보유액+원화예치금)만 보유하고 있었다. 계좌에 암호화폐와 현금이 모두 없는 ‘깡통 계좌’ 보유자 37만 명(7%)을 포함한 수치다. 반면 1000만 원 이상의 코인을 보유한 이용자도 82만 명(15%)이었다. 암호화폐를 10억 원어치 이상 보유한 가입자는 전체 가입자의 0.1% 수준인 4000명으로 집계됐다.

시장 확대에 암호화폐 사업자들이 거둬들이는 이익도 상당한 것으로 드러났다. 암호화폐 매수·매도 시 평균 수수료율은 0.17%로 한국거래소의 주식 매매 수수료율인 0.0027%의 62배다. 사업자별로 최소 0.05%~최대 0.30%의 수수료율을 내세웠다. 지난해 전체 거래업자의 영업이익은 3조 3700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의 99%는 원화 마켓에서 비롯됐다.

FIU는 이번 실태 조사를 시작으로 반기별 실태 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해 국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추세를 분석하겠다는 방침이다. FIU 측은 “일부 사업자는 가격 변동성이 큰 단독 상장 암호화폐에 대한 높은 취급률을 보여 이용자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암호화폐는 자금 세탁 위험성이 매우 높은 분야이나 자금 세탁 방지 인력 비중이 낮아 추가 전담 인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