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도, 취약계층 이용시설에 미세먼지 청정구역‘맑은 숨터’조성





경기도는 오염된 실내환경에서 생활하는 어린이·노인·장애인 등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소규모 시설에 맑은 숨터 300곳을 조성해 실내공기 질을 개선한다고 2일 밝혔다.

맑음 숨터는 어린이집과 장애인시설, 노인요양시설 등 상대적으로 공기 질에 민감한 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취약시설의 실내공기질을 측정하고, 시설을 개선해 주는 사업이다. 매년 시군별로 신청을 받은 후 경기도가 지원 대상을 선정해 벽지, 장판, 페인트, 공기청정기 등을 친환경 제품으로 교체해 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도는 올해 15억원을 들여 소규모 어린이집, 경로당, 지역아동센터 등에 최대 500만원 이내로 실내공기질 개선작업과 물품을 지원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지원 품목으로는 친환경 도배장판, 페인팅, 현관 코일매트, 주방후드가 있으며, 올해는 환기청정기와 공기살균기 등 실내공기질 개선장치 설치를 확대·지원할 계획이다.

도는 우선 시군의 추천을 받은 시설을 대상으로 노후도, 환기가능 여부, 곰팡이 발생 정도에 대한 현장조사와 실내공기질 측정을 병행하는 등 사업장 환경을 분석한 후 심의위원회를 개최해 최종 지원 대상을 선정한다. 지원시설은 수혜자와 의견조율을 통해 시설별 맞춤형으로 시공하며, 보통 2~3일 정도 작업기간이 소요된다.

앞서 도는 2016년 민간기업과의 협업 형태로 맑은 숨터 사업을 시작했으나 2018년부터는 전액 도비로 지원되고 있다.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1,603개소의 시설을 지원했다. 개선 전후 공기질을 측정한 결과 미세먼지(PM10)가 최대 51% 이상 저감 됐으며, 수혜자 만족도 조사에서도 88%의 만족도를 보였다.

박대근 경기도 미세먼지대책과장은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의 건강 보호와 쾌적한 실내공기질을 제공하고자 맑은 숨터 사업이 더욱 확대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