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자재가격發 '셧다운' 현실화…전국 20여개 현장서 골조공사 중단

철근콘크리트 분야 하도급 업체

계약단가 인상요구 소극 대응에

예고대로 현장 인력 투입 중단

경남 창원시의 신축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관계자가 안전 난간대를 부착하고 있다. /연합뉴스경남 창원시의 신축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관계자가 안전 난간대를 부착하고 있다. /연합뉴스




철근콘크리트 분야 하도급 업체들이 2일 전국 20여 개 건설 현장에서 골조 공사를 전격 중단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업체는 계약 단가 인상 요구에 소극적인 원도급 건설사들의 현장에서 예고한 대로 ‘셧다운(공사 중단)’을 감행했다.

건설 업계에 따르면 골조 공사 하도급 업체 조직인 ‘철근콘크리트연합회’의 일부 회원사들은 이날 남양주와 대구·부산·포항·안동 등 전국 20여 개 건설 현장에 대한 인력 투입을 중단했다. 연합회 측은 △수도권 6곳 △부산·울산 경남 11곳 △충청권 1곳 △호남·제주 2곳 △대구·경북 7곳 등에서 공사가 중단된 것으로 파악했다.




앞서 철근콘크리트연합회는 지난 18일 전국 100대 건설사와 일부 중견 건설사를 대상으로 계약 단가 조정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내며 불응시 3월 2일부터 ‘셧다운’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이날 공사가 중단된 현장은 1일까지 100대 건설사들이 본사 차원 또는 각 현장별로 별도의 협의 의사를 보내지 않은 곳들이다.

관련기사



다만 이날까지 대우건설과 현대건설·롯데건설 등 10대 건설사 일부와 지역별 중견 건설사들이 ‘협의에 나서겠다’는 의사를 잇따라 밝히면서 ‘전면 셧다운’이라는 극단적 상황은 피하게 됐다. 아울러 셧다운에 돌입한 현장에서도 원도급사들이 대화를 요청하면서 일부 현장의 경우 내일부터 공사가 재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원도급 업체가 계약 조정에 불응하거나 협상 이후 협의에 진척이 없을 경우 갈등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철근콘크리트연합회 관계자는 “셧다운을 하지 않았더라도 문제의 본질은 계약 금액 조정이고 관련 협상은 이제부터 시작”이라며 “대표 기구가 아니라 현장별·업체별로 해결해야 할 문제이기 때문에 협의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형 건설사들 간 입장도 엇갈린다. 10대 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하도급 업체의 부담을 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한 반면 또 다른 관계자는 “하도급 업체는 계약을 성실히 이행할 의무가 있고 일방적으로 공사를 중단하면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한다”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