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5대 과기특성대-과기정통부, 국가전략기술 확보 손잡았다

AI·6G·첨단 바이오·반도체 등

10대 기술 로드맵·사업화 논의






글로벌 과학기술 패권 전쟁에 대응해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 정부가 육성하기로 한 10대 ‘국가필수전략기술’ 확보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10대 기술은 인공지능(AI), 5G·6G, 첨단 바이오, 반도체·디스플레이, 2차전지, 수소, 첨단 로봇·제조, 양자, 우주·항공, 사이버 보안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와 5개 과기특성화대는 2일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과기특성화대의 국가필수전략기술 확보 전략 마련을 위한 토론회’를 갖고 이같이 합의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 국양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총장, 김기선 광주과학기술원(GIST) 총장, 김광재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부총장 등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분야별 3~5개의 ‘세부 중점 기술’을 선별하고 연구개발(R&D) 로드맵과 인력, 실증·사업화, 규제 개선, 기술 보호 등을 포괄하는 육성·보호 전략을 논의했다.

관련기사



우선 KAIST는 국가필수전략기술 관련 핵심 인재를 양성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핵심·융합기술 연구를 수행하기로 했다. AI, 5G·6G, 반도체·디스플레이, 우주·항공 분야를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UNIST는 한계 돌파형 혁신 기술 개발과 실험실 기술의 사업화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산업을 창출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차전지, 수소, 첨단 바이오 등 분야를 적극적으로 키울 방침이다.

DGIST는 국내 최초 무학과 단일 학부 체계의 특성을 살려 전략기술 분야 융합형 인재를 양성한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첨단 바이오, 첨단 로봇·제조, 사이버 보안 등에 주력한다.

GIST는 지역 주력 산업과 GIST가 보유한 전략기술의 연계·협력을 통해 지역에서의 필수전략기술 혁신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첨단 바이오, 반도체·디스플레이, AI에 전념하게 된다.

POSTECH은 애플·구글·포스코 등 국내외 기업과의 산학 협력과 해외 연구기관과의 국제 교류에 앞장서기로 했다. AI, 첨단 바이오, 반도체·디스플레이, 2차전지, 양자 기술을 적극 키운다.

이경수 과기혁신본부장은 “미국 등 해외에서도 점차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며 “과기특성화대가 원천 기술 확보, 특화 교육 과정 운영과 인력 양성, 산학연 공동 연구, 지역 협력과 창업 활성화에서 선두에 서 달라”고 기대를 전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