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GTX 호재'에…경기 아파트 매수 심리 소폭 회복

C노선 정차 안산시, 상록구 매수 문의 늘고 집값 올라

서울은 대선 앞두고 16주 연속 하락…2년 7개월래 최저

서울시 한강변 아파트 단지./연합뉴스서울시 한강변 아파트 단지./연합뉴스




대선을 앞두고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가 더욱 위축된 반면 경기와 인천은 소폭 회복됐다. 대선 이후의 정책 변화 가능성에 민감한 서울은 매수자들의 관망세가 지속됐지만 중저가 주택이 많은 경기·인천은 광역급행철도(GTX) 추가 개통 등 호재로 매수 문의가 다소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쳤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2월 28일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6.8로 지난주 87.3보다 하락했다. 2019년 7월 셋째 주 85.6을 기록한 이후 약 2년 7개월 만에 최저치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해 11월 15일 이후 16주 연속 기준선인 100을 하회하고 있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원의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수치로 기준선인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매도 우위, 200에 가까울수록 매수 우위 시장을 뜻한다.





서울을 권역별로 살펴보면 은평·서대문·마포구 등 서북권은 지난주 대비 0.1포인트 하락한 84.4로 서울 5개 권역 중 매매수급지수가 가장 낮았다. 종로·용산·중구를 포함한 도심권은 지난주와 같은 85.1로 집계됐다. 강남 3구가 속한 동남권은 85.5에서 85.2로 하락했다.

관련기사



이에 비해 경기와 인천은 지난주 90.9, 93.6에서 이번 주 91.7, 93.9로 지수가 각각 상승했다. 여전히 기준선에는 못 미치지만 종전보다 매수 문의가 늘었다는 의미다. GTX 역사 추가 배정 등 개발 호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주 정부가 GTX C노선에 왕십리·인덕원·의왕·상록수역 등 4개 역사 추가 계획을 발표하면서 안산시 아파트 값이 한 주 새 0.07% 상승했다. 특히 C노선 정차역이 위치한 상록구는 이번 주 아파트 값이 0.16%나 올랐다.

임병철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매매수급지수 하락과 거래량 감소가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도 서초구 등 핵심 지역에서는 일부 신고가가 나오고 있다”며 “매도자와 매수자 모두 대통령 선거 후 정책 기조가 뚜렷하게 나오기를 기다리고 있어 향후 집값 향방은 대통령 선거 결과로부터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변수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