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오늘 밤 달 뒷면에 우주쓰레기 충돌…"60평 크기 웅덩이 만들 것"

로켓 잔해, 출처 논란 '진행중'

'창정-3C' 로켓 잔해 지목…中당국 부인

해당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연합뉴스=NASA 제공해당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연합뉴스=NASA 제공




3t 무게의 로켓 잔해가 4일 밤(이하 한국시간) 달에 충돌하면서 200㎡(약 60평) 크기의 충돌구를 만들 것으로 예측됐다.



로켓 잔해는 한국시간으로 밤 9시 25분쯤 시속 9300㎞로 달의 뒷면에 있는 '헤르츠스프룽(Hertzsprung) 크레이터' 인근에 충돌하면서 거대한 웅덩이를 만들고 수백 킬로미터 밖까지 먼지를 날리게 될 것으로 알려졌다. 로켓 잔해는 길이 12m, 지름 3m에 2~3분마다 공중제비를 도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특히 해당 충돌 과정은 지구에서 직접 관측할 수 없는 달의 뒷면인데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달정찰궤도선'(LRO)이나 인도의 찬드라얀2호 등도 관측할 수 있는 영역을 벗어나있어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리 찍어놓은 위성 사진을 통해 충돌 이전과 이후를 비교할 수는 있다.

한편 달에 충돌할 이 우주쓰레기를 누가 만든 것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현재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지난 1월 로켓 잔해의 달 충돌을 처음 예고한 미국 천문학자 빌 그레이는 2015년 2월 심우주기상위성(DSCOVR)을 쏘아 올린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을 지목했지만 이후 중국의 창정(長征)-3C 로켓 잔해로 정정했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는 "우리 측 모니터링으로는 관련 상단 로켓이 지구 대기로 들어와 완전히 불타 사라졌다"며 달에 충돌할 로켓 잔해가 창정-3C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달은 지구와 달리 대기가 없어 소행성이나 운석의 충돌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으며, 풍화작용이나 지각 활동이 없어서 한번 생긴 충돌구는 사라지지 않고 계속 남아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김지선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