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반려묘가 먹은 사료에 '멸종 위기' 상어 살이 섞여 있었다

2019년 美 조사 이어 아시아 사료 분석 결과 상어 고기 성분 검출

싱가포르 시판 사료 31% 상어 DNA 포함…취약종 2,3위로 많아

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싱가포르에서 시판 반려동물 사료에 멸종위기종인 상어의 고기가 포함되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조사는 2019년 미국의 반려동물 사료에서 상어 고기 성분이 검출된 데 따라 아시아 지역에서도 해당되는 제품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최근 싱가포르의 '예일-NUS대학' 연구진은 시판되는 반려동물 사료에 대한 DNA 바코드 검사 결과, 국제자연보호연맹(IUCN) 적색목록에 '취약종'으로 올라있는 '미흑점상어'와 '백기흉상어'가 포함된 것으로 밝혀졌다고 학술지 '해양과학 프런티어스'에 발표했다. 프런티어스에 따르면 연구진은 싱가포르에서 판매 중인 16개 상표의 반려동물 사료 45개에서 시료 144개를 채취해 상어 DNA가 포함돼 있는지를 분석했다. DNA 바코드 분석 결과, 시료 31%에서 상어 유전자가 나왔다.

관련기사



가장 많이 포함된 종은 '청새리상어'였으며, IUCN 취약종인 미흑점상어와 백기흉상어가 그 뒤를 이었다. 미흑점상어는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Ⅱ에도 올라있어 거래 통제가 이뤄지는 종이기도 하다.

분석대상이 된 반려동물 사료의 성분 표시에는 상어 고기가 포함돼 있다는 어떠한 구체적인 명시도 없었다. 단순하게 생선 또는 바다 생선(ocean fish), 흰살생선(white fish) 등으로 두루뭉술하게 표시돼 있었다.

연구진은 "반려동물 보호자 중 대다수는 자연을 사랑하는 사람일 가능성이 높으며, 자신도 모르게 상어 남획을 돕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대다수가 놀랄 것"이라고 했다. 연구진은 또 상어가 바다의 최상위 포식자로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멸종위기에 처한 상어 종의 보호를 넘어 상어 자체에 대한 남획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상어는 지난 50년간 70% 이상이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반려동물용 사료나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의 재료를 얻기위해 남획되고 있는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성분 표시를 구체적으로 해 소비자들이 선택을 할 수 있게 하고 국제적인 기준을 정해 이행하는 것이 상어 남획을 피하는 방안이라면서 반려동물 사료의 성분표시에 투명성을 강화할 것을 촉구했다.


이주희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