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9일 본투표 때 확진자 일반투표함 이용할 듯…투표 용지도 직접 넣어

선관위, 투표함 부실관리 재발방지책 행안위 보고

확진·격리자 사전투표 규모 집계 안돼 논란 커질 듯

6일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마련된 사전투표함 보관 장소 CCTV 통합관제센터. 연합뉴스6일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마련된 사전투표함 보관 장소 CCTV 통합관제센터. 연합뉴스




오는 9일 대선 본투표일에는 코로나19 확진·격리자용 임시 기표소가 없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대책을 내놓았지만 사전투표에 참여한 확진·격리자의 정확한 규모 파악조차 어려운 상황에서 확진·격리자 투표분이 향후 대선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선관위는 6일 오후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대상 비공개 보고에서 임시 기표소를 설치하지 않는 내용의 재발 방지 대책을 보고했다.

관련기사



당초 선관위는 확진자용 임시 기표소를 설치하지 않고 일반 유권자 투표 종료 후에 투표소 내에서 투표하는 방안과 임시 기표소를 설치하되 투표용지 보관함을 별도로 설치해 운영하는 방안 등 두 개 안을 보고했다. 하지만 여야 위원들이 논의 끝에 임시 기표소를 설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에서는 지역·투표소 사정에 따라 천차만별인 투표용지 보관함 규격이 문제로 지적된 만큼 기존 보관함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없고 통일된 규격함을 새로 제작하기에는 시간상 제약이 있어 임시 기표소를 없애는 방식을 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 투표함 이용 방침이 최종 확정될 경우 본투표 당일 확진·격리자는 직접 투표용지를 넣을 수 있게 되면서 관련 논란은 일정 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선관위는 7일 오전 10시에 긴급 전원회의를 열어 이 같은 방침을 최종적으로 결정한다.

하지만 선관위가 확진·격리자 사전투표 규모도 파악하지 못하는 등 총체적 부실 관리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중앙 선관위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코로나 확진·격리자 투표가 시작된 전날 오후 5시부터 투표 마감 시각까지 사전투표에 참여한 유권자는 모두 99만 630명이다. 여기에는 오후 5시 이후 투표한 일반 유권자와 확진자, 격리자가 섞여 있다. 5일 0시 기준으로 투표권이 있는 확진·격리자를 포함한 재택치료자 수는 총 102만 5973명이다. 선관위 측은 99만 630명 중에 코로나19 확진자와 격리자가 몇 명인지 집계하는 게 당장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어서 파문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본투표 시에는 확진·격리자의 투표가 일반 유권자 투표 종료 시각인 오후 6시 이후부터 7시 30분까지 진행된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