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동해안 산불 서울 면적 4분의1 이상 피해…진화율 울진·삼척 40%, 강릉 80%

중대본 피해 현황 집계

1만 6755ha 피해 추정

7일 오전 강원 삼척시 원덕읍 사곡리에서 산불이 확산하는 것에 대비해 소방차들이 방어선을 지키고 있다. 삼척=연합뉴스7일 오전 강원 삼척시 원덕읍 사곡리에서 산불이 확산하는 것에 대비해 소방차들이 방어선을 지키고 있다. 삼척=연합뉴스






정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동해안 산불로 인해 7일 오전 6시까지 1만6755ha의 산림 피해(산불 영향 구역 면적)가 추정된다고 밝혔다.

피해 면적은 이미 서울 면적(60.5ha)의 4분의 1 이상을 넘었다. 여의도 면적(290㏊·윤중로 제방 안쪽 면적)의 57.8배에 해당하며 축구장(0.714㏊)이 2만3466개 모인 넓이다.



울진 1만2039ha, 삼척 656ha, 영월 80ha, 강릉 1900ha, 동해 2100ha 피해가 추정된다.

관련기사



파악된 인명 피해는 없는 가운데 산불로 512개 시설이 피해를 당했다. 울진 272개, 동해 63 등 343개 주택이 소실됐다. 문화재 중에서는 동해시 어달산 봉수대(강원도 기념물 13호)가 피해를 봤다.

동해안 산불을 울진·삼척 산불과 강릉·동해 산불로 나눌 경우 강원 영월군 산불과 대구 달성군 산불까지 4개의 산불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 중이다.

이날 오전 5시를 기준으로 진화율은 울진·삼척 40%, 강릉 80%이며, 영월과 대구 달성은 각각 50%와 40%다.

같은 시각 기준으로 1만7940명(진화대 2068명, 공무원 2978명, 소방·경찰·해경·군인 등 1만2894명)의 인력과 헬기 95대, 차량 781대가 산불 진화에 투입됐다.

산불로 인해 대피한 주민은 전날 오후 9시 기준으로 4659가구 7355명으로 집계됐다. 공공시설, 마을회관, 경로당 등 임시주거시설 18곳에 436가구 485명이 대피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