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탄소중립·AI ‘스피드’ 주문한 최태원…“햇볕 들때 바꿔야”

신임 임원 간담회서 “기존에 없던 것 만들자”

공유 인프라 등 ‘딥 체인지’ 꾸준히 강조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제공=SK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제공=SK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탄소중립·인공지능(AI)을 미래 먹거리로 꼽으며 임직원들에게 속도감 있는 추진을 주문했다.



7일 재계에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달 신임 임원들과 진행한 화상 간담회에서 “탄소중립은 반드시 실현해야 할 과제이자 사업 포트폴리오와 목적을 바꿔나갈 새로운 기회”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기존 석유화학 사업들이 아직 수익을 창출하는 등) 햇볕이 비치고 있을 때 바꿔야 한다”며 탄소 감축 사업의 ‘타이밍’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또 “나중에는 바꿀 힘도 없어 문을 닫는 상황에 이를 수 있다”고 경고하며 “좀 더 속도를 내 기존에 없던 것을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최 회장의 속도전 주문은 AI 분야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그는 최근 SK텔레콤 무보수 미등기 회장을 맡자마자 사내 AI 테스크포스(TF)인 ‘아폴로’ 구성원들에게 보낸 첫 편지에서 그룹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로 AI 사업을 꼽은 것으로 알려졌다.

최 회장은 “SK텔레콤이 과거 이동통신 분야에서 수많은 세계 최초의 역사를 쓴 ICT 혁신의 상징과도 같은 기업이었지만 시장의 인식은 여전히 거기에 머물러 있다”고 진단한 뒤 “아폴로가 AI 컴퍼니로 가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밖에 발상의 전환을 통한 ‘딥 체인지(Deep Change·근본적 혁신)’도 끊임없이 강조하고 있다. 최근 신임 임원 간담회에서 ‘공유 인프라’를 예로 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변화된 환경에 맞게 정보를 공유하고 효율성을 높이고 네트워킹을 넓히려면 기존의 벽을 깨는 시도와 변화가 요구된다”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SK는 친환경 분야 연구개발 및 사업 인력·역량을 결집하는 ‘그린테크노캠퍼스’ 프로젝트를 추진 하는 등 관계사들 사이의 벽을 허물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전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